국제 국제정치

美 트럼프 행정부, 12개국 시민 입국 금지·하버드대 유학생 비자 발급도 제한

윤재준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5.06.05 15:15

수정 2025.06.05 15:14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1기 시절이던 지난 2018년 6월26일(현지시간) 미 워싱턴DC 대법원 앞에서 이슬람 주민 입국 반대 조치에 반대하는 시민들이 시위를 벌이고 있다. 4일 트럼프 대통령은 미 콜로라도주에서 발생한 유대인에 대한 공격을 언급하며 12개국 주민들이 오는 9일부터 입국을 하지 못할 것이라고 발표했다.AFP연합뉴스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1기 시절이던 지난 2018년 6월26일(현지시간) 미 워싱턴DC 대법원 앞에서 이슬람 주민 입국 반대 조치에 반대하는 시민들이 시위를 벌이고 있다. 4일 트럼프 대통령은 미 콜로라도주에서 발생한 유대인에 대한 공격을 언급하며 12개국 주민들이 오는 9일부터 입국을 하지 못할 것이라고 발표했다.AFP연합뉴스

[파이낸셜뉴스]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지난 1기때 실시했던 특정 국가 시민들의 입국 금지 조치를 부활했다.

이와는 별도로 앞으로 하버드대에 재학 예정인 예비 유학생들의 비자 발급도 제한하는 행정명령에도 서명했다.

4일(현지시간) AP통신과 BBC 방송 등 외신은 트럼프 대통령이 이란을 비롯한 12개국 시민들의 미국 입국을 오는 9일부터 금지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고 보도했다.

미국 입국이 금지된 나라는 △아프가니스탄△미얀마△차드△콩고△적도기니△에리트리아△아이티△이란△리비아△소말리아△수단△예멘이다.

또 △부룬디△쿠바△라오스△시에라리온△토고△투르크메니스탄△베네수엘라 시민들의 입국 제한도 강화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월20일 취임 직후 미국에 대해 적대적인 행위를 하는 국가와 일부 국가 시민들이 입국이 미 국가 안보에 위협이 되는지 조사할 것을 미 국토안보부와 국가정보국에 지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성명에서 “나는 국가 안보와 미국과 국민들의 이익을 위해 행동해야 했다”라고 입국 금지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는 지난 1일 미국 콜로라도주 볼더에서 발생한 유대인에 대한 혐오 범죄를 언급하면서 이를 철저한 심사를 받지 않고 입국하는 외국인으로 생길 수 있는 위험이라며 “우리는 그러한 사람을 원하지 않는다”라고 말했다.

이집트 국적인 용의자는 지난 2005년 미국 입국을 위해 비자를 신청했으나 거부됐으며 지난 2022년 8월 관광 비자로 입국후 난민 신청을 했으나 2023년 2월 비자가 만료되면서 가족들과 불법 체류자로 살아왔다고 미 국토안보부가 밝혔다.

외신들은 이집트가 이번 입국 금지 국가에 포함되지 않은 점을 지적했다.

BBC방송은 입국 금지 대상 국가가 이슬람 국가들을 겨냥했던 1기 행정부 때와는 달리 이번에는 정치적으로 불안하거나 체류 기간 위반자들이 많은 국가들을 근거로 두고 있다고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첫 임기 때인 2017년 1월에도 이란과 이라크, 시리아 등 7개 이슬람 다수 국가들 시민들의 입국을 금지시킨 바 있다.

또 북한과 베네수엘라 정부 관리와 가족들도 대상에 포함됐었다.

최근 하버드대에 대한 공격을 늘리고 있는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이 학교에 유학하려는 외국인에 대한 신규 비자 발급을 거의 금지하는 행정명령에도 서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하버드대가 연방 정부에 재학하는 외국 유학생에 대한 정보를 충분히 제공하지 못했으며 이들이 재학하도록 계속 놔둘 경우 미국 안보를 위협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달에도 하버드대가 외국 유학생들이 재학하는 것을 금지시키려 했으나 일단 연방 법원에 의해 일단 저지된 상태다.

미국 국무부는 중국인 유학생 중 중국 공산당과 연계됐거나 중요 과목 전공자들의 비자를 ‘공격적으로’ 취소시킬 것이라고 예고했다.

인권단체들은 이번 트럼프 대통령의 입국 금지 조치를 비난하고 있다.

앰네스티인터내셔널USA는 인종 차별적이고 잔혹하며 국적에 따라 표적을 삼는 것은 거짓 정보와 혐오만 확산시킨다고 비판했다.

휴먼라이츠퍼스트는 이번 조치로 난민들과 난민 신청자, 또 가족들과 미국에서 재회하려는 사람 같은 취약층들이 피해를 입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BBC는 이번 조치에도 불구하고 내년에 열리는 북중미 월드컵과 2028년 로스앤젤레스 하계 올림픽에 해당 국가들의 선수가 참가하는데는 지장이 없을 것이라고 보도했다.

jjyoon@fnnews.com 윤재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