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제주도 약속 지켜라"…동복리 주민 환경자원순환센터 봉쇄 예고

연합뉴스

입력 2025.06.05 10:54

수정 2025.06.05 10:54

"제주도 약속 지켜라"…동복리 주민 환경자원순환센터 봉쇄 예고

제주환경순환센터 (출처=연합뉴스)
제주환경순환센터 (출처=연합뉴스)


(제주=연합뉴스) 변지철 기자 = 제주지역의 주요 폐기물처리시설인 제주환경자원순환센터가 위치한 제주시 구좌읍 동복리 마을 주민들이 폐열지원사업 이행을 촉구하며 폐기물 반입 저지를 예고하고 나섰다.

동복리는 입장문을 내고 "제주환경자원순환센터는 동복리에 살게 될 미래세대에게 부담을 계속적으로 남기게 되는 시설"이라며 제주도가 약속한 농경지 폐열지원사업을 이행하지 않으면 제주환경자원순환센터 진입로를 봉쇄하겠다고 5일 밝혔다.

동복리는 "제주도가 마을에 제주환경자원순환센터를 두게 허락하면 동복리에 농경지 폐열지원사업을 하겠다고 약속했지만 이행하지 않고 있다"며 "제주도의 일방적인 불이행에 동복리는 제주환경자원순환센터의 진입로를 봉쇄하는 방법으로 나아갈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동복리에 따르면 환경자원순환센터 유치 협의 당시인 지난 2013∼2014년 소각로 운영 시 발생하는 폐열을 비닐하우스 등 농경지에 지원하는 내용이 협의됐음에도 이행되지 않자 2018년 집회를 열기도 했다.

대기 중인 쓰레기 수거 차량 (출처=연합뉴스)
대기 중인 쓰레기 수거 차량 (출처=연합뉴스)


집회는 제주도 측과의 협의를 통해 한 달 만에 종료됐다.



당시 마을 측은 부지사와 담당 국장과의 면담에서 주민들의 밭에 폐열 관로를 깔아 지원하는 것에 대한 용역을 시행하고 경제성이 안 좋게 나오면 다른 대안으로 폐열을 이용한 다른 마을 지원사업 모색을 합의했다고 주장했다. 이 같은 내용을 녹음한 '녹취'도 있다고 설명했다.

동복리는 "제주도는 농경지 폐열 타당성 용역 결과 농경지 폐열지원사업의 경제성이 없는 등 사업 타당성이 떨어진다고 한다"며 "그렇다면 약속대로 도유지를 대상으로 원래 예정했던 사업내용에 상응한 사업을 진행해야 하나, 그에 대해서는 수용할 수 없다고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7년간 제주도의 두 번의 약속과 그 확실한 이행을 기대했지만 사업이 진행되지 않고 있다"며 "도가 농경지 폐열지원사업을 이행하지 않는다면 7일 오전 진입로 봉쇄와 집회 등 강경 대응에 나서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제주환경자원순환센터는 제주시 구좌읍 동복리 지역에 조성된 소각시설로, 하루 500t가량을 처리할 수 있다.

반입량은 지난해 매립 5만6천317t, 소각 13만 7천795t으로 하루 평균 매립 153t, 소각 376t에 이른다. 이 중 대부분이 제주시에서 발생한 생활 폐기물이다.


제주환경자원순환센터는 2012년 폐기물처리시설 확충 결정이 공고된 후 7년 3개월 만에 모든 공사가 마무리된 뒤 2019년부터 가동에 들어갔다.

bjc@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