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뉴스1) 권진영 기자 = 세계 환경의 날인 5일 시민단체들이 새 정부를 향해 기후·생태계 위기 극복을 주요 정책 과제로 수립하고 실현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환경운동연합은 이날 오전 10시 30분쯤 서울시 광화문 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재명 정부는 기후위기 극복 가능한 정책을 즉각 시행하라"고 외쳤다.
이어 "이재명 대통령의 임기는 2030년 6월 2일까지로 국제사회의 주요 환경 이정표인 해와 맞물려 있다"며 "'미래의 과거가 되어 내일의 후손들을 구할 차례'라고 한 이 대통령의 말이 환경 정책에서도 강하게 구현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환경운동연합은 새 정부가 △재생에너지 중심 기후 순환 경제 구축 △핵발전 축소 및 탈핵 로드맵 수립 △생태복원과 수질개선을 위한 4대강 재자연화 △해양생물다양성 보호를 통한 지속 가능한 해양생태계 구축 △일회용 플라스틱 규제 및 탈플라스틱 사회로 전환 △화학물질과 산업폐기물로부터 국민 건강을 지킬 생활안전 정책 마련을 필수 국정과제에 포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안재훈 환경운동연합 사무총장은 "기후 환경 문제는 단지 생존의 문제만이 아닌 미래의 먹거리이자 국가의 지속 가능한 경쟁력"이라며 "이제는 무엇을 할지보다 지금 당장 무엇을 실행할지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안숙희 생태보전팀장은 "유럽의회는 지난 여름 자연 복원법을 만들어 처음으로 훼손된 생태계 복원에 법적 구속력을 부여했다"며 "유럽의 선제적 기후 대응을 언제까지 부러워해야만 하냐"고 반문했다.
기후위기비상행동 역시 "이재명 정부는 '기후위기 극복'이라는 구호에 그치지 않고 기후위기 최전선에 있는 당사자, 시민사회의 목소리를 국정과제에 책임있게 반영하기 위한 절차에 착수해야 한다"고 했다.
이들은 "이 대통령은 선거운동 기간 중 가덕도 신공항 건설을 강행하겠다는 의지를 밝히고 탈핵의제를 회피하는 등 기후정의 원칙에 부합하지 않는 입장을 밝혔다"며 "연말까지 국제사회에 제출해야 할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NDC)나 점점 강력해지는 기후재난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과 비전을 제시하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한편, 그린피스는 전날 성명을 통해 "한국은 2030년까지 육지와 해양의 30%를 보호구역으로 지정하기로 한 쿤밍-몬트리올 글로벌 생물다양성 프레임워크 당사국으로서 이를 적극 이행할 책임이 있다"고 짚었다.
※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