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후순위채 발행은 오는 8월 콜옵션(조기상환)이 도래하는 기존 3000억원 규모 신종자본증권 상환에 선제적으로 대비하기 위한 전략적 조치다. 지난달 27일 진행한 후순위채 수요예측에서 총 1조2000억원 규모의 기관 자금을 집중시키며 큰 관심을 모았다.
발행 조건은 금리 3.40%로, 지난달 27일 기준 민간채권평가회사 4곳이 제시한 국고5년물 수익률(2.472%) 대비 92.8bp(1bp=0.01%p)의 스프레드를 반영했다. 이는 직전 발행된 보험사 자본증권의 발행 사례 대비 절대금리 기준 약 70bp, 스프레드 기준 약 40bp 낮은 수준이다.
신한라이프는 지난 2021년 이후 업계에서 처음으로 3%대 금리 수준의 후순위채 발행에 성공했다. 특히 콜옵션 미행사 등 자본시장에 대한 경계심이 커진 상황에서도 계획한 수준의 수요를 안정적으로 확보하는 수준을 넘어 1조 2천억원의 응찰 수요가 몰리면서 우수한 자본전략 실행력을 보여줬다.
흥행의 비결로는 신한라이프의 차별화된 기업 성과와 발행 전략이 꼽힌다. 보험업 규제 강화 영향에도 불구하고 지난 1·4분기 기준 핵심 건전성 지표인 지급여력비율(K-ICS·킥스)이 189.3%로, 금융당국의 권고치인 150%를 크게 웃돈다. 신용등급 역시 한국기업평가와 한국신용평가 모두 'AA+(안정적)'을 부여하며 자본시장에서 신뢰 받는 보험사다.
특히 대형사가 2조원 넘는 자본증권을 발행한 것 대비 신한라이프는 본 후순위채 발행 전 기준 자본증권 발행 잔액이 6000억원 수준으로 풍부한 진성자본을 보유하고 있다. 이를 활용해 우량물 공급 희소성과 금리인하 기대감에 집중한 마케팅 전략으로 발행 타이밍을 절묘하게 선정한 것이 주효했다는 평가다.
coddy@fnnews.com 예병정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