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상무부 장관 "반도체법 재협상"
삼성 6.5조원, SK 0.6조원 사정권
전문가들 "보조금 축소 불가피"
일자리 창출 지연 등 강조해야
삼성 6.5조원, SK 0.6조원 사정권
전문가들 "보조금 축소 불가피"
일자리 창출 지연 등 강조해야

美 상부무 장관 "보조금 재협상 진행"

앞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각각 설비 투자에 대한 보조금을 받기로 하고 바이든 행정부와 계약을 맺었다. 삼성전자는 현재 미국 텍사스주 테일러에 총 370억달러(약 51조원) 이상 투입되는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공장을 건설하고 있다. SK하이닉스도 인디애나주에 인공지능(AI) 메모리용 어드밴스드 피키징 생산 공장을 건설하기로 했다.
전문가 및 업계 "보조금 축소 불가피"
전문가 및 업계 종사자들은 보조금 축소가 사실상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김양팽 산업연구원 전문연구원은 "보조금 규모가 줄어드는 게 확정적이라고 보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도널드 트럼프가 대선 후보 시절부터 이야기 했었고, 장관도 언급을 했던 부분"이라며 "최근 관세 이슈 때문에 부각이 되지 않았을 뿐이지 사라진 것이 아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그걸 다시 들고 나왔으니, 조만간 조치가 이뤄질 것으로 보고 있다. 원래 대선 직후 조치 가능성이 높았는데 약간 밀린 상태"라고 덧붙였다.
박재근 한양대 융합전자공학부 교수는 "SK하이닉스의 경우 아직 본격적인 시작을 하지 않았지만, 삼성전자는 건물의 거의 다 올라갔다"며 "미국 생산 비용이 한국보다 2배 이상 큰데, 보조금까지 줄이게 되면 비용이 더 늘어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삼성전자 미국 공장이 주로 생산할 하이엔드 파운드리 고객사 확보도 안 된 상황에서 공장 가동을 하면 적자가 더 심해지게 된다"며 "보조금 지연은 결국 장비 반입 지연과 투자 기간 연장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했다.
저자세로 성급한 대응을 하기 보다는 상황을 예의 주시해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김 연구원은 "우리 기업이 '보조금을 못 받는 부분에 대해서 투자를 그만큼 줄일 수 있다' 등의 강경한 대응을 해야 한다"며 "대화를 통한 협상이든, 결국 해결을 해야 하는 것이기 때문에 너무 저자세로 나가는 건 좋지 못하다"고 강조했다.
박 교수도 "보조금 감소는 결국 공장 가동 지연, 일자리 창출 지연 등으로 이어진다는 점을 잘 설명해야 한다"며 "관세 발표도 아직 확정이 안된 상황에서 성급하게 대응하기 보다는 충분히 시간을 가지고 대응해야 한다"고 말했다. kjh0109@fnnews.com 권준호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