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美 관세압력 여파…울산시 "중소기업 통상지원 예산 69% 집행"

뉴스1

입력 2025.06.05 14:55

수정 2025.06.05 14:55

(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함) / 뉴스1 ⓒ News1
(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함) / 뉴스1 ⓒ News1


(울산=뉴스1) 김세은 기자 = 최근 미국발 관세압력 여파로 울산지역 중소기업의 피해가 지속될 것으로 우려되자, 울산시는 ‘통상위기 극복 지원사업’을 추가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울산시는 5일 울산시의회 권태호 의원이 서면 질문한 ‘미국발 통상위기 속 소상공인, 중소기업에 대한 정책 방향 및 지원 정책’에 대해 이같이 답변했다.

권 의원은 서면질문을 통해 “수출주도형 산업구조로 발전해 온 울산으로서는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며 “통상환경 변화에 취약한 중소기업에 미치는 타격은 더 클 것으로 보여 걱정”이라고 말했다.

울산상공회의소가 지난 3~4월 지역 기업 96곳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응답 기업의 80.2%가 트럼프 2기 행정부의 통상정책이 지역 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했으며, 34.4%는 이미 부정적 영향을 체감하고 있다고 답했다.

이에 시는 “지난 3월부터 6개 수출 유관기관이 참여하는 ‘통상정책 비상대응반’을 운영해 대응하고 있다”며 “지난 5월 기준 통상 지원 예산의 69%를 집행해 수출기업의 피해 회복에 대비했다”고 밝혔다.



구체적인 대책으로는 자동차 관련 중소기업에 100억원 규모의 긴급자금을 추가 지원하고, 아세안, 중동 등 신시장에 무역사절단을 파견해 기업의 시장 리스크를 분산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또 환율 변동 리스크에 대응해 무역보험 지원률을 90%에서 전액으로 상향하고, 국제특송 물류비 지원 한도도 기존 200만원에서 300만원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울산시는 현재 지역 중소기업 26개사에 국제특송 해외 물류비를 지원했으며, 30여개사 정도 추가 지원할 계획이다. 수출보험 보증료는 2개사에 8281만원의 보험금을 지원했다.


시 관계자는 “지역 중소기업과 소상공인들을 위한 통상 위기 극복 지원사업을 추가 확대하고자 한다”며 “해외 물류비 지원과 무역사절단 파견 등 사업 확대를 위한 추경 예산 반영에 의회 차원의 지원을 부탁드린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