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울산=뉴스1) 김세은 기자 = 제21대 대선 결과 이재명 대통령은 울산에서 역대 민주당 대선 후보 중 최고 득표율을 기록하며 ‘보수 강세’로 분류되는 울산의 정치 지형을 뒤흔들었다.
그러나 초유의 비상계엄 사태로 열린 조기 대선 국면에서도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가 울산 득표율 1위를 수성하면서 정권교체의 바람이 미풍에 그쳤다는 분석도 나온다.
이번 대선에서 나타난 울산 표심이 내년 6월 치러지는 지방선거에도 그대로 반영될지 관심이 쏠린다.
'울산=보수 텃밭'은 옛말…보수·진보 격차 좁혀져
6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울산에서 이재명 대통령(42.54%)과 김문수 후보(47.57%) 간 득표율 격차는 5.03%포인트(p)로 나타났다. 영남권에서 한 자릿수 격차는 울산이 유일하다.
김 후보의 울산 득표율이 직전 대선 윤석열 전 대통령의 득표율인 54.41%보다 한참 못 미치면서, 압도적 우세를 보여주지 못했다.
노동계 표심이 강한 동구와 북구에서는 이 대통령이 각각 48.08%, 48.63%를 얻으며 ‘진보 정치 1번지’의 입지를 회복했다.
직전 대선 당시 이재명 후보는 동구에서 윤 전 대통령에 2.63%P 차로 뒤졌고, 북구에서는 단 95표 차로 이겼다.
전통적으로 보수세가 짙은 중구와 남구, 울주군에서도 변화의 바람이 감지됐다. 매 선거를 거듭할수록 보수정당 후보와 진보정당 후보 간 격차가 좁혀지고 있기 때문이다.
직전 대선에서 양당 후보 간 득표율 차이는 중구 19.26%P, 남구 20.97%P, 울주군 17.91%P였지만, 이번 대선에선 중구 11.03%P, 남구 12.02%P, 울주군 9.19%P로 좁혀졌다.
특히 혁신도시가 들어선 중구 약사동은 이번 대선에서 단 19표 차로 이재명 대통령을 선택하는 변화를 보였다.
울산 시민들이 계엄과 탄핵의 강을 건너지 못한 국민의힘을 향해 민심의 회초리를 날린 셈이다. 반면 선거 막판 위기를 느낀 보수 지지층이 결집하면서 민주당 울산시당 역시 ‘과반 득표’ 목표치에는 도달하지 못했다.
대선 결과 내년 지방선거 영향 줄까…역대 선거 살펴보니
울산의 정치 지형은 앞선 대선 결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아 왔다. 특히 정권교체 후 새로운 정부가 들어서면 정권 뒷받침 여론이 견제 여론을 앞섰다.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으로 치러진 2017년 제19대 대선에서 문재인 민주당 후보가 당선되자, 1년 뒤 치러진 2018년 제7대 지방선거에서 민주당은 울산시장과 5개 구·군 단체장 석권했다.
울산시의회와 5개 구군의회 역시 민주당이 거머쥐면서 민주당이 사상 첫 다수당이 되는 역사를 썼다.
반면 2022년 치러진 20대 대선에서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가 승리하자 울산의 정치 지형이 역변됐다.
같은 해 치러진 제8대 지방선거에서 국민의힘은 울산시장을 비롯해 4개 구·군 기초단체장을 탈환하고, 울산시의회 22석 중 21석을 장악하는 데 성공했다.
내년 지방선거 역시 민주당이 조기 대선으로 정권교체를 이뤘다는 점에서 유리한 입지에 있지만, 이재명 대통령의 임기 초반 국정 운영 평가에 따라 민심의 향방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조기 대선 국면에서 민주당과 함께 ‘통합 선대위’를 이뤘던 진보당, 조국혁신당 등 범진보 진영 간의 단일화 여부도 변수가 될 가능성이 크다.
내년 지방선거까지 이선호 민주당 시당위원장과 박성민 국민의힘 시당위원장 체제가 이어지는 만큼, 지방선거 도전을 위한 지역 정치권의 물밑 작업이 치열해질 전망이다.
※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