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노동위, 위원·조사관 1434명 대상 설문조사 발표
일하고 싶은 직장 되려면…44.7% "차별·괴롭힘 NO"
직장 내 분쟁 예방 및 신속 해결엔?…73% "신뢰 문화"
![[서울=뉴시스] 중앙노동위원회가 위원·조사관 1434명을 대상으로 지난 5월 8일부터 15일까지 실시한 '일하고 싶은 직장 설문조사' 결과/. 2025.06.08. (자료=중앙노동위원회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https://image.fnnews.com/resource/media/image/2025/06/08/202506081201436998_l.jpg)
[서울=뉴시스] 고홍주 기자 = 일하고 싶은 회사가 되기 위한 요소로 '차별·괴롭힘 없는 조직 문화'가, 직장 내 고용노동 분쟁을 예방하고 해결하기 위해서는 '직장 내 신뢰 문화 구축'이 가장 중요하다는 설문조사가 나왔다.
중앙노동위원회(중노위)는 지난달 8일부터 15일까지 위원·조사관 총 1434명을 대상으로 한 '일하고 싶은 직장 설문조사' 결과를 8일 발표했다.
우선 응답자의 73.1%는 직장의 분쟁 예방·해결을 위해 가장 중요한 요소가 '직장 내 신뢰 문화 구축'이라고 답했다. 이어 노동위원회 등 외부 전문가 지원체계(11.5%), 직장 내 법규범의 확립(8.9%), 임금·근로조건 개선(6.6%) 순이었다.
일하고 싶은 직장을 위해 가장 시급한 요소로는 '불신을 일으키는 차별·괴롭힘 없는 조직문화'라는 응답이 44.7%로 가장 높았다.
일하고 싶은 동료로는 '원만한 인간관계'를 가진 사람이라는 응답이 38.8%였다. 상사·동료들로부터 인정 받는 업무능력을 가진 사람이라는 응답은 27.9%였고, 다양한 네트워크를 통한 정보 확보 및 전파(16.7%), 동료의 어려운 일을 돕는 배려(16.6%) 순이었다.
아울러 일하고 싶은 직장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노동위원회의 분쟁해결 지원 방식으로는 '알기 쉬운 법률정보 제공·상담'이라는 응답이 35.7%로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는 '이견을 해소하는 화해'(30.5%) 였다.
또 노동위원회 기능 강화를 위해서 가장 시급한 과제로는 55.2%가 '화해와 조정의 활용도 제고'를 꼽았다. 조사관과 상임위원 증원(34.7%), 조사보고서 등 초안 작성에 인공지능(AI) 활용(19.7%), 전자송달 시스템 구현(1.4%)이라는 응답도 뒤따랐다.
김태기 중노위 위원장은 "새 정부의 등장과 함께 경제가 살아나도록 하려면 일하고 싶은 직장이 되도록 구성원들의 신뢰를 키우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adelante@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