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증권일반

가상자산 통 김용범 정책실장…스테이블코인 도입 탄력받나

박지연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5.06.08 14:38

수정 2025.06.08 14:38

이재명 대통령은 6일 강훈식 대통령 비서실장의 대통령실 1차 인선 브리핑을 통해 대통령실 정책실장에 김용범 전 기획재정부 1차관을 임명했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제공.
이재명 대통령은 6일 강훈식 대통령 비서실장의 대통령실 1차 인선 브리핑을 통해 대통령실 정책실장에 김용범 전 기획재정부 1차관을 임명했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제공.

[파이낸셜뉴스] 민간 블록체인 업계에서 활동해 온 김용범 전 기획재정부 1차관이 이재명 정부 초대 대통령실 정책실장에 기용되면서 가상자산 관련 정책 이 탄력받을 전망이다. 김 정책실장이 몸 담았던 해시드오픈리서치는 아시아 최대 블록체인 투자사인 해시드의 싱크탱크로, 가상자산 관련 다수 보고서 발간을 주도해왔다.

8일 업계에 따르면 경제·금융 분야 정통 관료의 길을 걸어온 김 정책실장은 공직에서 물러난 뒤인 2022년부터 최근까지 해시드오픈리서치에서 대표로 활동했다.

해시드오픈리서치는 블록체인과 가상자산 산업의 미래에 관한 여러 연구와 제안을 다수 쏟아냈다. 특히 지난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 이후 스테이블코인을 주제로 한 보고서들을 발표했다.

이 대통령의 가상자산 육성 공약과 맞물려 김 정책실장의 역할에 업계 관심이 쏠리는 이유다.

김 정책실장은 지난 3월 '원화 스테이블코인 필요성과 법제화 제안'이라는 제목의 보고서에서 "제조업 경쟁력을 유지하는 범위 내에서 원화 스테이블코인의 강점을 살린다면, 원화는 타국 화폐 대비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김 정책실장은 평소에도 스테이블코인을 지렛대로 한국이 미국과 함께 '디지털 G2(주요 2개국)'로 도약해야 한다는 소신을 밝혀온 것으로 전해졌다.

이는 이재명 대통령의 정책 구상에도 상당 부분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이 대통령은 지난달 초 경제 유튜버들과의 대담에서 "원화 스테이블코인 시장을 만들어 놔야 소외되지 않고 국부 유출을 막을 수 있다"고 강조한 바 있다. 이 대통령은 정책 공약집에서도 원화 스테이블코인 발행, 유통 등 스테이블코인 활용 방안 마련을 약속한 바 있다.

이 때문에 업계에서는 원화를 기반으로 한 스테이블코인 발행 허용이 기정사실로 여겨지고 있다.

일각에서는 한국은행이 시중은행 6곳과 공동으로 추진해온 '프로젝트 한강' 대신 일부 은행이 별도로 준비 중인 원화 스테이블코인 쪽에 정책적 무게가 실릴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프로젝트 한강은 은행 예금을 중앙은행 발행 디지털 화폐(CBDC)와 연계한 토큰으로 변환한 뒤 실생활에서 결제 수단으로 사용하는 실험으로, 민간 주도 스테이블코인 활용과는 다소 차이가 있다.

나아가 시중은행 뿐 아니라 비은행 금융기관이나 민간 핀테크 회사가 원화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하는 방안도 주목된다. 김 정책실장은 지난달 말 '디지털 G2를 위한 원화 스테이블코인 설계도'라는 제목의 보고서에서 "과거의 신뢰는 중앙은행의 보증, 은행 면허, 예금자 보호와 같은 법제적 장치 위에 구축됐지만, 지금의 디지털 통화 환경에서는 스마트 콘트랙트, 리저브 공시, 실시간 감사, 상환 알고리즘 등 설계 구조 그 자체가 신뢰의 근거가 된다"고 짚었다.

이어 "기존 금융당국은 위험 통제를 우선시하는 경향이 강하고, 은행 기반 설계에 대한 선호 역시 제도적 관성으로 작용하고 있다"며 "지금이야말로 한국이 단순한 규제 수용이 아니라 제도 설계의 방향성을 결정해야 할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다만 이러한 관점은 한은의 공식 입장과 배치된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지난달 29일 기자간담회에서 "원화 스테이블코인은 화폐의 대체재라 비은행 기관이 마음대로 발행하면 통화정책 유효성을 상당히 저해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한은은 원화 스테이블코인을 법적으로 허용할 경우 발행 인가부터 한은이 개입할 수 있도록 보장돼야 한다고 주장한다.

nodelay@fnnews.com 박지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