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이낸셜뉴스] 태양전지는 햇빛만으로 전기를 생산할 수 있어 대표적인 미래 에너지지만 공정이 습도에 민감해 여름철처럼 습한 날에는 고비용의 드라이 룸(Dry room)이 필요했다. 이 같은 드라이룸 없이도 습도에 상관없이 고효율의 태양전지를 제작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차세대태양전지연구센터 손해정 박사 연구팀은 계절과 습도에 상관없이 균일하게 고효율 태양전지를 제작할 수 있는 용액 공정 기술을 개발했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태양전지 대량생산의 핵심 기술로 주목받는 용액 공정의 환경 민감성을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팀은 태양전지 소재의 용액이 골고루 퍼질 수 있도록 흐름을 조절하는 특수 첨가제를 개발했다.
이를 위해 습도 변화가 태양전지 용액 공정 중 광활성층 박막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했다. 습도가 높아지면 기판의 표면에너지가 변하고 이에 따라 용액의 흐름이 달라져 박막의 나노 구조가 변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고습 환경에서는 박막이 균일하게 형성되지 않아 태양전지의 성능 저하 문제가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팀이 개발한 첨가제를 적용한 결과, 여름철 고습(상대습도 50~70%)과 겨울철 저습(10~20%) 환경에서도 일반 사용 태양전지의 편차보다 낮은 ±2% 이내로 안정됐으며 발전 효율도 기존 15.1%에서 16.3%로 높아졌다. 이는 날씨나 계절과 관계없이 성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동일 면적 기준 세계 최고 수준의 효율로 더 작은 크기로도 더 많은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기술 경쟁력을 입증한 성과다.
이번 기술은 고가의 드라이 룸 없이도 대면적 태양전지를 안정적으로 제작할 수 있어 제조 비용 절감과 생산 효율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드라이 룸 설치에는 수 천만 원 이상의 비용이 들지만 첨가제를 용액에 혼합하는 방식으로 기존 설비에 쉽게 적용할 수 있어 경제성이 높다. 특히, 약 2000조 원 규모로 성장 중인 차세대 고효율 태양전지 시장에서 중국 등 주요국 간 기술 경쟁이 치열한 가운데 원가와 품질을 모두 잡은 이번 기술은 국내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핵심 기술로 평가된다.
이번 연구 성과는 국제 학술지 'Joule' (IF 38.6, JCR 분야 0.8%)에 게재됐다.
jiany@fnnews.com 연지안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