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10일~8월31일 '새나라 새미술:조선 전기 미술 대전'
국보 16건 포함 총 691건 전시…해외 5개국서 가져와
'백자 청화 산수·인물무늬 전접시 등 23건 한국 첫 전시
도자·서화·불교 미술…백·먹·금 3색으로 빛나는 세계
![[서울=뉴시스] 사시팔경도 중 초여름, 전傳 안견安堅(15세기 활동), 조선 15세기 중반, 비단에 먹과 엷은 색, 8폭, 국립중앙박물관 (사진=국립중앙박물관 제공) 2025.06.09.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https://image.fnnews.com/resource/media/image/2025/06/09/202506091004147126_l.jpg)
[서울=뉴시스] 이수지 기자 = 생애 두 번은 볼 수 없을 지 모를 초대형 전시가 열린다.
국립중앙박물관 용산 이전 개관 20주년을 맞아 오는 10일부터 열리는 특별전 '새 나라 새 미술:조선 전기 미술 대전'이다.
그동안 조선 후기 미술전은 수차례 선보인 바 있으나, 조선 전기는 후기에 비해 현존 작품 수가 현격히 적고 주요 작품의 대다수가 국외에 있어 접하기 어려웠다. 국립중앙박물관은 조선전기는 새 나라가 건설되는 격변의 시기로, 유교 통치이념을 도입하면서 한국 문화 형성에 중요한 시기라는 점에 주목, '조선 전기 미술 대전'을 열기로 했다.
이런 취지에 걸맞게 이번 전시에서는 도자, 서화, 불교미술 등 당시 미술을 대표하는 작품 691건을 선보인다.
◆왜 조선 전기인가…15~16세기 미술의 정수 한자리에
국립중앙박물관은 특별전 '새 나라 새 미술: 조선 전기 미술 대전'에 대해 "조선이란 새로운 나라의 시작과 함께 꽃핀 15~16세기 미술의 정수를 한 자리에 모은 대규모 기획"이라고 밝혔다.
![[서울=뉴시스] '백자 청화 산수·인물무늬 전접시', 조선 15~16세기, 개인소장 撮影者: 城野誠治 Shirono Seiji (사진=국립중앙박물관 제공) 2025.06.09.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https://image.fnnews.com/resource/media/image/2025/06/09/202506091004174606_l.jpg)
박물관 관계자는 "그동안 조선 후기 미술과 비교하면 조선 전기 미술의 면모는 잘 알려지지 않았다"며 "조선 후기에 비해 현존 작품 수가 적으며, 주요 작품 중 다수가 국외에 있어 접하기 어려운 점이 가장 큰 이유였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 시기 미술에서는 새 나라의 건설이라는 커다란 변화 속에서 주목할 만한 혁신과 변화가 있었고, 이때 형성된 특징과 미감은 한국 문화의 중요한 부분이 되어 현재 우리에게 이어지고 있다"며 "이번 전시는 새 나라 조선에서 펼쳐진 미술의 주요 흐름을 집중적으로 조명한다"고 소개했다.
그러면서 "조선 전기 미술을 다룬 전시로는 역대 최대 규모로, 국외에 상당수 전해지는 조선 전기 미술품을 만날 귀중한 기회"라며 "국내 기관 출품작 중에서도 국보·보물 등 지정문화유산이 80여 건에 달한다"고 말했다.
◆총 691건 전시…美·日·英·獨·佛 등 5개국서 40작품 공수
국립중앙박물관은 이 전시를 위해 국내외 72개 기관이 소장한 전시품 691건이 한자리에 모았다. 미국, 일본, 영국, 독일, 프랑스 등 5개국 24개 기관에서 40건을 가져왔다.
![[서울=뉴시스] '십장생도', 조선 16세기 후반, 비단에 먹과 색, 기메박물관 ©GrandPalaisRmn(MNAAG, Paris)/GNC media, Seoul, 2025 (사진=국립중앙박물관 제공) 2025.06.09.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https://image.fnnews.com/resource/media/image/2025/06/09/202506091004358002_l.jpg)
이 중 ''백자 청화 산수·인물무늬 전접시', '십장생도', '지장시왕도' 등 23건이 처음 우리나라에 선보이는 작품이다.
이외에도 박물관이 지난해 구입한 '산수도', 기증받은 '초서'도 최초로 공개된다.
'서울 조계사 목조여래좌상'은 이번 전시를 위해 처음으로 법당을 떠나 박물관으로 옮겨온다
![[서울=뉴시스] '지장시왕도', 영지靈芝(16세기 활동), 조선 1586년, 삼베에 색,일본 스오코쿠분지 ©周防国分寺 (사진=국립중앙박물관 제공) 2025.06.09.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https://image.fnnews.com/resource/media/image/2025/06/09/202506091004429265_l.jpg)
◆백·먹·금으로 풀어내는 조선전기 미술의 대서사
이번 전시는 조선 전기 미술의 대서사를 도자, 서화, 불교미술 중심으로 보여준다.
이 시기 도자는 분청사기를 거쳐 새하얀 백자 시대를 맞이했다. 회화에서는 먹을 위주로 한 회화가 주류가 됐고 수묵산수화가 꽃을 피웠다. 불상을 표현할 때 사용되는 금색은 변치 않는 불교의 영향력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박물관 관계자는 "백자의 백색, 수묵산수화의 먹색, 불교미술의 금색을 각 장르의 주된 흐름을 상징하는 색으로 설정했다"며 "조선 전기 미술이 낯설게 느껴지는 이들에게 세 가지 색이 각각 작품에 따라 펼치는 변주에 주목해볼 것"을 제안했다.
제1부 전시실에는 조선 전기 도자의 흰빛을 향한 여정을 한눈에 볼 수 있는 특별한 공간이 마련됐다.
길이 14m, 높이 3m의 벽에 고려 말 상감청자에서 조선의 분청사기와 백자까지 박물관 소장 도자 300여 건이 색의 변화에 따라 배치됐다.
![[서울=뉴시스] 산수도, 구전 송 미우인(1074~1153), 조선 16세기 중반, 비단에 먹과 색, 3폭 일본 모리박물관(사진=국립중앙박물관 제공) 2025.06.09.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https://image.fnnews.com/resource/media/image/2025/06/09/202506091004460926_l.jpg)
이번 전시에는 박물관 소장 '송하보월도', 일본 모리박물관 소장 '산수도' 등 조선 전기 서화에 대한 이해의 지평을 넓혀주는 작품도 다수 있다.
'송하보월도'는 그동안 조사 연구에 의해 달과 매화가 붉은 안료로 채색된 사실이 밝혀졌다. 일본 모리박물관 소장 '산수도'는 기존에는 중국 작품으로 여겨졌지만, 그간 축적된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조선 전기 작품으로 재평가됐다.
원래 세트였으나 서로 다른 기관에 소장된 작품들도 선보인다. 미국 라크마(LACMA) 소장 '산시청람도'와 일본 야마토문화관(大和文華館) 소장 '연사모종도'는 '소상팔경도 중 두 장면에 해당하는 그림이다. 이들 작품은 이번 전시에서 처음으로 함께 전시된다.
![[서울=뉴시스] 조계사 목조여래좌상, 조선 15세기, 나무, 서울 조계사, 보물 (사진=국립중앙박물관 제공) 2025.06.09.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https://image.fnnews.com/resource/media/image/2025/06/09/202506091004519135_l.jpg)
이번 전시에서는 왕실 후원의 불상과 불화에서부터, 불교 서적과 민간 차원에서 조성된 불교미술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작품을 소개해 이 시기 불교미술의 진면목을 재조명한다.
프롤로그 '조선의 새벽, 새로운 나라로'에서는 태조 이성계가 발원해 금강산에 봉안한 '이성계 발원 사리장엄'을 만난다.
1부 '백白, 조선의 꿈을 빚다'에서는 국가 체제의 힘으로 견인한 조선 전기 도자 산업의 전모를 살펴본다.
2부 '묵墨, 인문人文으로 세상을 물들이다'에서는 조선 전기 사대부의 이상을 담은 서화를 소개한다.
3부 '금金, 변치 않는 기도를 담다'에서는 신분의 높고 낮음을 막론하고 인간의 본성 깊은 곳에 맞닿아 있던 불교미술을 조명한다.
에필로그 '조선의 빛, 훈민정음'에서는 '훈민정음'을 소개하며 전시를 마무리한다.
![[서울=뉴시스] 훈민정음, 조선 1446년, 종이에 목판 인쇄 간송미술문화재단, 국보 ⓒ간송미술문화재단 (사진=국립중앙박물관 제공) 2025.06.09.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https://image.fnnews.com/resource/media/image/2025/06/09/202506091004584078_l.jpg)
◆수어·음성 해설, 디지털 활용…이해 쏙쏙
이번 전시에서는 누구나 전시 내용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접시 방식을 선보인다.
어린이와 가족을 위한 쉬운 설명 패널이 전시실에 비치된다. 어린이용 오디오가이드 서비스가 제공된다. 전시품을 활용한 활동지와 조선 전기 추구미 아이템을 찾는 활동도 즐길 수 있다.
대표 작품 32점을 감상할 수 있는 하이라이트 해설이 한국어, 영어, 한국 수어와 음성해설로 제공된다.
청력이나 시력에 어려움이 있는 관람객도 전시 내용을 쉽게 즐길 수 있다. 전시실에 비치된 QR 코드를 스캔하거나 특별전 모바일 리플릿 사이트에서 볼 수 있다.
전시 기간 다양한 학술 행사도 마련된다. 오는 20일 전시를 기획한 학예연구사의 강연 '특별전의 기획과 구성'이 개최된다. 내달 17일 일본 소재 조선 전기 미술에 대한 국외 학자 초청 강연, 내달 18알 한국미술사학회와 공동으로 주최하는 국제심포지엄 '조선 전기의 미술'이 열린다. 오는 8월에는 박물관 웹사이트에서 온라인 특강도 준비된다
이번 전시는 오는 8월 31일까지 열린다.
☞공감언론 뉴시스 suejeeq@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