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뉴시스] 우장호 기자 = 소나무재선충병에 감염된 나무. (사진=뉴시스DB)](https://image.fnnews.com/resource/media/image/2025/06/09/202506091011300009_l.jpg)
[제주=뉴시스] 양영전 기자 = 제주도는 지난해 10월부터 올해 5월까지 소나무재선충병 집중방제기간 동안 12차 방제를 통해 총 7만2611그루의 고사목을 제거했다고 9일 밝혔다. 이 중 2만6948그루가 재선충병 피해목으로 확인됐다.
제거된 소나무는 99.9%가 자원화돼 열병합발전소 연료(16.9%), 톱밥·파쇄칩(80%), 열처리 목재용재(3.1%) 등으로 활용됐고, 피해지 외곽지역 1152㏊에 예방용 나무주사도 실시했다.
도는 그동안 소나무재선충병에 총력 대응하기 위해 '소나무재선충병 12차 방제 총력 추진계획'을 수립해 추진했다.
소나무재선충병 피해가 한라산국립공원에 확산되지 않도록 해안 방향으로 압축방제를 실시했고, 피해임지를 분석해 고사목을 제거한 임지에 예방나무주사를 병행하는 복합 방제에 나섰다.
아울러 도민 연 8000여명을 고용하고 도내 장비(굴삭기, 운반차량 등) 연 4000여대를 임차해 지역경제에도 기여했다.
제주도 관계자는 "전국적으로 소나무재선충병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도는 체계적인 방제 전략으로 피해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한라산 보호와 소나무 자원 보전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0jeoni@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