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대통령실

李대통령 "라면 한개에 2000원 진짜냐?..종합 물가대책 보고하라"

서영준 기자,

성석우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5.06.09 15:59

수정 2025.06.09 15:59

(서울=뉴스1) 박지혜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이 9일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비상경제점검 TF 2차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2025.6.9/뉴스1 /사진=뉴스1화상
(서울=뉴스1) 박지혜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이 9일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비상경제점검 TF 2차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2025.6.9/뉴스1 /사진=뉴스1화상

[파이낸셜뉴스] 대통령실과 집권 여당 더불어민주당이 서민가계를 압박하는 고물가 잡기 총력전에 나섰다.

특히 이재명 대통령이 대표적 서민 지수 중 하나인 라면 가격을 비싸다는 취지로 언급하면서 내각과 참모들에게 종합적인 물가관리 방안 마련을 긴급 지시했다. 민생안정 관련 대선 공약으로 이른바 '먹사니즘'을 내세웠던 이 대통령이 서민층 먹거리 물가 변동이 심상치 않음을 감지하고 선제적 대응에 나설 것을 주문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 대통령은 9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비상경제점검 태스크포스(TF) 2차 회의를 주재하면서 "최근 물가가 엄청나게 많이 올랐다고 그러더라"며 "라면 한개에 2000원 한다는데 진짜냐"고 물었다.

이에 김범석 기획재정부 1차관은 "정치적 불확실성 때문에 가공식품 위주로 맥주랄지 라면 등 저희가 (물가를) 눌러놨던 것들이 많이 오른 부분이 있다"며 "걱정되는 부분이 계란하고 닭고기, 특히 닭고기를 많이 수입하는 브라질에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가 발생해서 한두달 시차가 있긴 한데 잘못 대응하면 급등 우려가 있다"고 답했다.



이 대통령은 물가 상승의 다양한 요인을 감안한 '맞춤형' 대책 마련을 당부했다. 이 대통령은 "세상에 이유 없는 일은 없으니 여러 요인이 있을 것"이라며 "물가 문제가 우리 국민들한테 너무 큰 고통을 주기 때문에 현황과 가능한 대책이 뭐가 있을지를 챙겨서 다음 회의 이전에라도 보고를 해 주면 좋겠다"고 당부했다.

서민층 수요가 몰린 각종 생필품을 포함한 고물가 기조가 지속되면서 실질소득이 감소, 서민가계의 여력이 없어 곧바로 내수 및 소비 부진으로 이어지면서 기업 수익성 악화 등 전체적인 한국경제 펀더멘털(기초체력)이 약화되고 있다는 판단에서다.

이 대통령은 물가 안정과 경기 회복을 위해 가용가능한 모든 수단을 총동원하겠다는 의지도 내비쳤다. 이 대통령은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최근 라면 한봉지 가격이 2000원을 넘어서는 등 급등한 생필품 가격으로 국민 여러분의 부담이 크게 늘어난 현실을 무겁게 받아들이고 있다"며 "물가 동향을 면밀히 살피고, 필요하다면 즉각적으로 조치를 시행할 수 있게끔 준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대통령의 고물가 관리 의지에 화답하듯 여당도 보조를 맞췄다. 더불어민주당 박찬대 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는 이날 "먹거리 물가가 끝 모르고 상승하고 있다"며 "계란도 4년 만에 최고치로 오르며 한판에 1만원 시대, 이른바 금란이 됐다"고 지적했다.

민주당은 우선 조치로 당 차원에서 '물가관리 TF'를 구성키로 했다. 박 원내대표는 "대선 전 차기 정부의 민생 과제 1순위가 무엇인가를 묻는 말에 국민 열분 중 여섯 분은 물가 안정을 최우선으로 꼽으셨다"며 "국민의 말씀대로 물가 안정이 곧 민생 안정의 출발점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 대통령은 각 부처 장관들에게 신속한 정책적 대응과 효율성을 끌어올리기 위해 다음 회의부터 실무자급 직원을 대동하라고 주문했다. 이 대통령은 "장관들이 (현안을) 다 알기가 어렵다"며 "회의할 때 담당 차관이나 실국장, 필요하면 과장도 같이 대동해도 된다"고 말했다.


이어 공직자가 '국민 삶의 질 제고'에 미치는 영향력과 관련해서도 이 대통령은 "우리가 쓰는 한시간은 5200만 시간의 가치가 있다"며 "여러분이 하는 일이 얼마나 세상에 영향을 크게 미치는지 책임감을 각별히 가져주기를 한번 더 부탁한다"고 거듭 당부했다.

syj@fnnews.com 서영준 성석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