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제주 '쓰레기 섬' 위기…폐기물 처리장 봉쇄에 550톤 처치 곤란

뉴스1

입력 2025.06.09 16:02

수정 2025.06.09 17:06

8일 오전 제주시 구좌읍 동복리 제주환경자원순환센터 진입로에 가연성 쓰레기를 실은 수거차량들이 줄지어 서 있다. 2025.6.8/뉴스1 ⓒ News1 오미란 기자
8일 오전 제주시 구좌읍 동복리 제주환경자원순환센터 진입로에 가연성 쓰레기를 실은 수거차량들이 줄지어 서 있다. 2025.6.8/뉴스1 ⓒ News1 오미란 기자


제주시 구좌읍 동복리 주민들이 8일 오전 제주시 구좌읍 동복리 제주환경자원순환센터 진입로에서 집회를 하고 있다. 2025.6.8/뉴스1 ⓒ News1 오미란 기자
제주시 구좌읍 동복리 주민들이 8일 오전 제주시 구좌읍 동복리 제주환경자원순환센터 진입로에서 집회를 하고 있다. 2025.6.8/뉴스1 ⓒ News1 오미란 기자


(제주=뉴스1) 오현지 기자 = 제주시 구좌읍 동복리 주민들이 제주 최대 폐기물 처리시설인 제주환경자원순환센터 진입로를 가로막으면서 이틀 사이 550톤 넘는 쓰레기가 처리되지 못했다.

동복리 주민들은 농경지 폐열지원사업 또는 대체 사업 추진을 요구하면서 지난 7일 오전 8시부터 센터 진입로를 봉쇄했다.

9일 제주도에 따르면 제주환경자원순환센터로 반입되지 못한 제주시 지역 가연성 폐기물은 도내 민간업체를 통해 도외 반출 처리되고 있고, 미처리량은 이날 오전 10시 기준 262톤으로 집계됐다.

제주시에서 하루 발생하는 폐기물은 약 226톤으로, 이틀간 민간업체 2곳에서 207톤이 처리됐다.

호텔, 마트 등에서 폐기물을 수거하는 민간업체 사정은 더 심각하다.

주말 사이 센터로 반입되지 못하고 쌓인 폐기물은 약 300톤으로 추정된다.

공공에서 수거한 폐기물을 도외로 반출하는 비용만 하루 1억1000만원 수준이다. 제주에서 폐기물을 처리하면 비용은 톤당 9만3000원 수준이지만, 도외 반출 시 톤당 40만원으로 4배 이상 불어난다. 도외 반출 처리비용을 감당할 수 없는 민간업체 측 항의도 계속되고 있다.

도는 일주일을 한계점으로 보고 주민들과 최대한 대화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사태는 소각장에서 나오는 '폐열'을 농경지에 지원하는 사업을 둘러싼 입장 차에서 벌어졌다.

주민들은 소각장 설립 당시 제주시장이 약속한 농경지 폐열지원사업 또는 대체사업 추진을 이행하라고 주장하고 있다.

도는 당시 제주시장이 농경지 폐열지원사업을 구두 약속한 점은 인정하면서도 정식 협약서나 공문서, 회의록 등에 폐열지원사업 또는 대체 사업 추진이 명시돼 있지 않다고 반박했다.

도는 이날 기자실에서 브리핑을 열고 "2019년 폐열 활용 사업 타당성 검토 용역을 실시해 2020년 12월 사업 추진 타당성이 부족하다는 결과를 동복리에 설명했다"며 "지난해 11월 동복리의 폐열사업 가능 여부 검토 요청에 대해서는 폐열이 주민지원시설인 해돋이 힐링센터로 공급돼 폐열 부족으로 사업이 불가능하다고 안내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동복리는 2018년 12월 폐열 활용사업 타당성이 부족할 경우 대체 사업 시행을 약속했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현재까지 그런 약속 사실을 확인하지 못했다"며 "주민들이 가지고 있다는 녹취파일도 아직 제공받지 못했다"고 말했다.

도는 문제해결을 위한 지속적인 대화를 이어가되 도민 불편이 가중될 시 행정대집행 등 법적·행정적 조치를 고려한다는 입장이다.


강애숙 기후환경국장은 "폐기물처리시설을 활용해 마을의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는 마을 주도 사업에 대해서는 법령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최선을 다해 지원하겠다"며 "불편을 겪는 도민과 민간 폐기물 처리 관련 업체에 사과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