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뉴스1) 한상희 박기현 손승환 기자 = 김용태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9일 비공개 의원총회에서 전당대회 개최 여부와 자신의 신임 문제를 전당원 투표에 부치겠다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국민의힘은 4시간 넘는 난상토론에도 김 위원장의 거취와 개혁안에 대해 뚜렷한 결론을 내지 못한 채 의총을 이어가고 있다.
김 위원장은 이날 의총에서 일부 의원들이 거취에 대한 명확한 입장을 밝혀달라고 요구하자 "내년 지방선거를 선출된 당대표 체제에서 치를지, 비대위 체제를 유지할지를 포함해 제가 제안한 당 개혁안에 대한 신임 여부를 전당원 투표로 묻겠다"며 "안이 받아들여지면 계속 맡고 그렇지 않으면 물러나겠다"는 취지로 말했다고 한다.
다만 실제로 전당원투표까지 가지 않고 김 위원장이 비대위를 계속 이끌되 전당대회 로드맵을 제시하고 그 시점까지 역할을 수행하는 방안에 대한 공감대가 당내에서 확산되는 분위기라고 박정하 의원은 전했다.
의총 초반에는 김 위원장이 사의를 밝힌 비대위원들과 함께 동반 사퇴해야 한다거나 새 원내대표가 선출된 뒤 재신임 절차를 거쳐야 한다는 주장이 우세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의총에서는 △9월 전당대회 개최 △대통령 탄핵 반대 당론 무효화·비상계엄 옹호 인사 당 윤리위원회 회부 △대선 후보 교체 시도에 대한 당무 감사 △민심·당심 반영 절차 확립 △지방선거 100% 상향식 공천 등 '5대 개혁안'이 집중적으로 논의됐다.
특히 탄핵 반대 당론 무효화와 후보 교체 시도에 대한 당무 감사 추진을 둘러싸고 격론이 이어졌다.
후보 교체 관련 당무 감사에 대해선 부정적 기류가 우세하다는 전언이다. 다만 "굳이 반대할 필요는 없다"는 소극적 찬성 의견도 적지 않았던 것으로 전해졌다.
조경태·안철수 의원 등은 "필요하다면 당무감사를 해야 한다"며 김 위원장에게 공개적으로 힘을 실었다.
"탄핵 이미 끝난 사안" vs "분명히 선 그어야"…전대 시기는 가급적 빠르게
탄핵 반대 당론 무효화를 둘러싸고도 의견이 팽팽하게 갈렸다.
반대 측은 "이미 표결로 마무리된 사안을 지금 와서 무효화한다는 건 무의미하다"며 반발했고 "당초 탄핵 자체에 대한 당론은 없었다"는 주장도 나왔다.
강승규 의원은 의총에서 "자칫 의총을 친윤 집회로 몰아세우려는 레거시 미디어들의 프레임에 비대위원장이 올라타 자기 정치하는 것으로 보일 수 있다"고 김 위원장을 강하게 비판했다.
반면 찬성 측은 "상징적 의미가 있다. 이전 정부와는 분명히 선을 그어야 국민의힘의 미래와 확장성이 열린다"는 입장을 보였다고 안철수 의원은 전했다. 안 의원은 "당내에서 당론 무효화를 두고 찬반이 팽팽히 맞서고 있다"고 전했다.
김 위원장의 거취 문제를 놓고도 시각차가 뚜렷했다. 6선의 조경태 의원과 초선 우재준 의원 등은 "쇄신의 시간을 줘야 한다"며 유임에 힘을 실었다.
전당대회 시기에 대해서는 "가급적 빠르게 개최해야 한다"는 의견이 당내에서 우세했다.
김 위원장의 5대 개혁안 발표에 대해 절차적 정당성이 결여됐다는 비판도 제기됐다.
최보윤 비대위원은 "5개월 넘는 비대위 기간 동안 전혀 공론화되지 않은 내용으로 비대위 의결 없이 발표된 내용"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당헌당규도 확인하지 않은 채 공개 기자회견을 발표한 건 성급했다"며 "적어도 민주당이 박수칠 일은 해선 안 된다"고 비판했다.
※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