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구=뉴스1) 남승렬 기자 = 경북대 의대 본과생 10명 중 9명이 유급 위기에 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의·정 갈등 장기화로 의대생들의 대량 유급이 눈앞에 닥치자 의료계와 정부가 대책 마련에 집중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10일 강경숙 조국혁신당 의원이 서울대를 제외한 9개 국립대 의대로부터 제출받은 유급·제적 현황에 따르면 경북대 의대는 지난달 27일 기준 예과 25학번 125명 전원이 학사경고 대상자가 될 예정이다.
또 24학번 79명 중 87.3%인 69명, 예과 2학년 85명 중 91%인 78명이 학사경고 대상자가 될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 성적이 나쁠 경우 유급 대상자가 되는 본과 학생은 전체 343명 중 91%인 318명으로 파악됐다.
내년에 학생들이 모두 복귀할 경우 24, 25, 26학번이 한꺼번에 듣게 될 예과 1학년 수업에 최소 200명이 몰리게 되는 것이다.
다른 지역 국립대 상황도 경북대와 크게 다르지 않다.
지난달 7일 기준 경상국립대 의대는 예과 1학년 185명 중 94.1%인 174명이 유급 대상자로 확정됐다. 충북대 의대는 유급 예정자가 없지만 25학번 재학생 117명 중 112명이 1개 과목만 신청했다.
이들이 2학기 수업에 참여하지 않거나 최소 강의만 수강할 경우 내년 수업 대상자가 162명으로 모집인원(50명)의 3배가 넘는다.
대구권 의대 측은 "유급 인원에 대해서는 공개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대구지역 한 대학병원 관계자는 "대량 유급은 사실상 현실이 됐다"며 "새 정부가 출범한 만큼 의료계와 정부가 이해관계를 떠나 현실성 있는 대책을 내놔야 한다"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