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뉴스1) 정진욱 기자 = 인천국제공항공사가 수년간 적자를 낸 자기부상열차를 관광·체험형 궤도시설로 전환하기 위해 행정절차에 돌입한다.
10일 인천공항공사에 따르면 공사는 5월 21일 도시철도였던 자기부상열차를 궤도시설로 변경하는 계획을 확정하고 인천 중구에 승인 신청을 했다. 중구는 오는 17일까지 허가 여부를 결정하거나 보완을 요구할 것으로 알려졌다.
인천공항공사는 2016년 총 3150억 원을 투입해 자기부상열차 노선 6.1㎞(6개 역사)를 개통하고 제1여객터미널과 용유역을 연결했다. 하지만 매년 80억 원가량 적자가 발생했고, 2022년 7월부터는 중정비를 이유로 운행을 멈췄다.
정부는 기술 수출을 시도했지만, 초기비용과 유지비 부담, 도심항공교통(UAM) 등 차세대 교통기술에 밀리며 사업 성과를 내지 못했다. 결국 자기부상열차는 실용화 실패 사례로 남게 됐다.
공사는 국토부, 인천시와 협약을 체결하고 궤도시설 전환 후 올해 89월 중 운행을 재개하겠다는 계획을 확정했다. 화·일요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 35분 간격으로 무료 운행한다.
궤도시설로 바꾸면 철도안전법이 아닌 시설물관리법을 적용받아 여객 운송이 아닌 축제나 관광 수요에 따라 유연하게 운행할 수 있다는 게 공사 측의 설명이다.
중구는 지역주민 다수가 출퇴근용으로 열차를 이용해 왔다는 점을 들어 도시철도 기능 유지를 요구하고 있다. 중구가 허가를 내주지 않을 경우 행정 갈등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있다.
공사는 궤도시설 전환으로 연간 약 30억 원을 절감하겠지만 무료 운영에 따른 연 50억 원 적자는 불가피하다고 내다봤다.
공사 관계자는 "자기부상열차 철거를 제외하면 운영비 지출은 계속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