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오, 새 정부에 "흩어진 민심 수습하고 분열 극복해야"
시민단체, 이 이사장 사퇴 요구도…"원형 복원 약속 어겨"
![[서울=뉴시스] 김금보 기자 = 이재오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이사장이 10일 서울 용산구 민주화운동기념관에서 열린 '제38주년 6·10민주항쟁 기념식 및 민주화운동기념관 개관식'에서 경과보고를 하고 있다. 2025.06.09. kgb@newsis.com](https://image.fnnews.com/resource/media/image/2025/06/10/202506101332212777_l.jpg)
[서울=뉴시스] 조성하 기자, 박나린 인턴기자 = 6·10민주항쟁 38주년을 맞은 10일, 과거 남영동 대공분실이 '민주화운동기념관'이라는 이름으로 새롭게 문을 열었다.
이날 오전 6·10민주항쟁 기념식과 함께 서울 용산구 민주화운동기념관 민주광장에서 열린 개관식에는 정치권 인사와 시민들이 참석해 민주주의의 의미를 되새기고 기념관의 새 출발을 축하했다.
이재오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이사장은 "이곳은 지난 시절 민주주의가 파괴된 공간이었고, 수많은 민주 인사들이 고문과 탄압으로 피눈물을 흘린 곳"이라며 "국가폭력의 대표적인 자리에 민주주의 기념관이 문을 열게 된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이사장은 "이 기념관에서 민주주의를 배우고 발전시켜야 한다"면서 새 정부를 향해 "민주주의를 일상화해 흩어진 민심을 수습하고, 갈등과 분열을 국민 대통합으로 극복해 민주주의를 더욱 발전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기념식에는 여야 주요 인사와 우상호 대통령실 정무수석 등 대통령실 관계자를 비롯한 정치권 인사들이 참석했다.
우 수석은 대통령의 기념사를 대독하고 "1987년 6월의 정신은 과거가 아닌 현재"라며 "절차적 정당성을 무시한 비상계엄 선포와 국회 봉쇄는 참혹한 비극의 기억이 언제든 현실이 될 수 있다는 경각심을 일깨웠다"고 했다.
민주화운동기념관 건립은 2001년 여야 합의에 따라 제정된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법으로 추진됐다. 2001년 11월 출범한 사업회는 행정안전부 산하 공공기관으로 기념관 건립은 문재인 정부이던 2018년 발표됐다.
한편 이날 기념식에 앞서 시민단체 '남영동대공분실을 기억하는 사람들'은 기자회견을 열고 이 이사장의 사퇴를 촉구했다.
이들은 이 이사장이 시민사회와 합의 없이 기념관 명칭을 '민주인권기념관'에서 민주화운동기념관으로 변경하고, 고문탄압의 상징인 본관 공간을 사무실로 사용하는 등 원형 복원 약속을 저버렸다고 주장했다.
또 "2005년까지 운영되던 대공분실의 역사를 무시한 채 전시물을 1987년 6월 항쟁까지로 제한하는 등의 만행을 저질렀다"고 비판했다.
기념관은 이날 공식 개관식을 시작으로 오는 11일부터 구관을, 13일부터는 신관을 일반에 순차 공개할 예정이다.
![[서울=뉴시스] 김금보 기자 = 우상호 정무수석이 10일 서울 용산구 민주화운동기념관에서 열린 '제38주년 6·10민주항쟁 기념식 및 민주화운동기념관 개관식'에서 이재명 대통령의 기념사를 대독 하고 있다. 2025.06.09. kgb@newsis.com](https://image.fnnews.com/resource/media/image/2025/06/10/202506101332279453_l.jpg)
☞공감언론 뉴시스 create@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