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와다 요코와 대담…"유통의 장에서 소멸해도 시는 살아남을 것"
김혜순 시인 "AI는 인간이 쓰는 문학 작품 대체할 수 없어"다와다 요코와 대담…"유통의 장에서 소멸해도 시는 살아남을 것"

(서울=연합뉴스) 황재하 기자 = 김혜순 시인이 인공지능(AI)이 발전해도 인간이 쓰는 문학 작품과 같은 가능성을 갖출 수는 없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아울러 시가 유통의 장에서 소멸할 가능성은 있지만, 인간은 어떤 방식으로든 시적 발견을 계속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10일 발간된 문예지 '대산문화' 여름호(96호)에 따르면 김혜순은 지난달 22일 소설가 다와다 요코와의 비공개 대담에서 AI와 인간이 문장을 구성하는 과정을 비교해 설명했다. 기술 발전 속 문학의 미래에 관한 사회자의 질문에 답하는 과정에서다.
김혜순은 "AI는 학습한 지식을 요약하고, 기술적 오류가 없는 문장으로 출력해낸다"며 "이렇게 하는 것은 우리가 쓰는 문학 작품처럼 주어진 텍스트에서 잠재된 맥락을 상정하는 의미 구성의 층위로 나아가지 못한다"고 짚었다.
그러면서 "생태적이거나 문학적인 문해력을 갖춘 인간이 쓴 텍스트는 확장 가능하고 함축적이며 다른 텍스트와 연결되어 있고, 다른 텍스트와 접속한 순간에 다시 실현되어 다른 존재를 가동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래서 결국 그 텍스트(인간이 쓴 글)는 잠재적 공간에도 존재하게 되는 것"이라며 "AI 텍스트는 그런 것을 갖출 수 없을 것"이라고 비교했다.
김혜순은 또 디지털 시대 종이책의 가치에 관해 "머지않은 장래에 시라는 장르가 유통의 장에서 소멸할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며 "그러나 인간은 자기만의 시적 발견을 통해 어떤 방식으로든 시를 가동할 것이며, 그렇게 시는 다른 곳으로 스며들어 가 살 것"이라고 말했다.

다와다 요코는 "종이는 아주 훌륭한 문화라고 생각하고 앞으로도 없어지지 않을 거라고 믿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독일에 '아티스트 북'이라는 장르가 있는데, 예술가와 시인이 함께 하나의 오브젝트로서 책을 만드는 것"이라고 소개했다.
이어 "저도 ('아티스트 북'을) 몇 권 만들어본 경험이 있는데, 그중 하나는 종이에서 일본의 오코노미야키 같은 냄새가 나는 '오코노미야키'라는 책"이라고 했다.
이외에도 김혜순과 다와다 요코는 대담에서 젠더가 문학에 미치는 영향, 다른 언어로 번역될 때 느끼는 감정 등 여러 주제로 이야기를 나눴다. 대담은 총 두 시간가량 이어졌다.
김혜순은 최근 국내외에서 여성 작가의 활약이 두드러지는 이유에 대해 "문학 작품 낭독회에 가보면 젊은 여자 독자가 거의 90%"라며 "여자의 목소리를 들으려는 독자의 탄생이 먼저 있었다고도 볼 수 있을 것 같다"고 해석했다.
jaeh@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저작권자 ⓒ 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