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교육일반

의대 '트리플링' 현실화 한달 남았다…새정부, 의대생 구제 나설까

뉴스1

입력 2025.06.11 06:28

수정 2025.06.11 08:36

서울 시내 한 의과대학 앞. /뉴스1 ⓒ News1 김진환 기자
서울 시내 한 의과대학 앞. /뉴스1 ⓒ News1 김진환 기자


(서울=뉴스1) 이유진 장성희 기자 = 전국의 다수 의과대학이 수업을 거부하고 있는 학생들에 대한 유급·제적 행정 처리를 이번 학기 말 확정 지을 예정인 것으로 파악됐다. 대부분 대학이 이달 종강하고 7~8월 중 성적 처리를 마치기 때문에 한 달 정도밖에 남지 않은 셈이다.

대학은 새 정부가 출범한 만큼 1년 넘게 수업을 거부하는 의대생들의 복귀를 유도할 대책을 기대하는 분위기다. 행정 처리가 확정되기 전이라도 복귀해 수업을 듣는다면 내년도 최악의 '트리플링' 사태는 막을 수 있다는 것이다.

11일 교육계에 따르면 전국 40개 의대 중 다수는 이번 학기 말 유급(성적) 사정위원회를 열어 유급과 제적 대상자에 대한 행정 처리를 모두 마무리하기로 했다.

학칙에 따라 다르긴 하지만, 유급에 대한 최종 결정은 통상 학기 말에 이뤄지고 결정 전 사정위원회 등을 통해 소명 절차가 진행된다.

한 사립대 의대 학장은 "요즘은 학년말 (행정 처리를) 하는 대학은 별로 없다. 한 학기 수업 후 유급자가 발생하기 때문에 다음 학기를 들을 이유가 없다"며 "대부분 학기 말 (유급·제적) 행정 처리를 한다"고 설명했다.

전국 40개 의대 총장 모임인 '의과대학 선진화를 위한 총장협의회'(의총협) 공동 회장인 이해우 동아대 총장은 "유급은 일단 학기 말 (행정) 처리가 기본"이라며 "학교마다 조금씩 학칙이 다를 순 있다"고 말했다.

의대가 있는 서울의 한 사립대 관계자는 "행정 처리는 성적 확정 이후 학기 말에 진행된다"며 "다만 학년별로 (유급 기준) 날짜가 다를 수 있다"고 전했다. 또 다른 사립대 관계자는 "8월 말 (유급과 제적) 행정 처리를 최종적으로 할 계획"이라고 했다.

이처럼 다수 대학이 이번 학기 말 유급과 제적 행정 처리를 앞둔 가운데, 대학들은 행정 처리가 확정되기 이전에라도 의대생들이 복귀하면 내년도 24·25·26학번 세 학년이 동시에 수업을 듣는 '트리플링'의 현실화를 막을 수 있다고 판단한다.

한 사립대 총장은 "학생들이 언제라도 오기만 한다면 여름, 겨울 계절학기와 온라인 강의 등 모든 방법을 총동원할 준비가 돼 있다"고 말했다.

서울 사립대 관계자는 "새 대통령이 의대생이 복귀할 수 있도록 어떤 대책을 내놓지 않겠느냐 하는 기대가 있다"며 "대학들은 학사일정을 타이트하게 해서라도 어떻게든 내년도 트리플링을 막을 것이다. 단, 정부가 발표한 학사 유연화 제도가 전제"라고 했다.

경상국립대 등 일부 대학은 이번 학기가 아닌 학년말 기준으로 유급·제적 행정 처리를 하지만, 내년도 트리플링을 우려하는 상황은 대부분 의대가 비슷한 실정이다.

이재명 대통령은 대선 기간 의정 갈등에 대한 해결 의지를 드러내 온 만큼 의대생 복귀를 위한 특단의 대책을 내놓을지 주목된다.
다만 이번에도 정부가 의대생을 구제해 줄 경우 지난해부터 이어져 온 의대생 '특혜' 논란을 피해 가긴 어려울 전망이다.

수업을 거부하고 있는 일부 의대생들 사이에선 지속된 의정 갈등에 피로감을 호소하며 새 정부가 지금이라도 복귀 명분을 만들어주길 바란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지역의 한 국립대 의대생 A 씨는 "의대 학생 대표들이 제적원 제출을 결의하고 난 이후 별다른 움직임도 없고 앞으로 어떻게 해야 할지 막막하다"며 "정부랑 어떤 논의가 이뤄지는지 지켜볼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