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편집자주]어! 이런 게 있었어? 또 나만 몰랐어. [서울 꿀팁]은 이런 일 없도록 0세부터 100세까지 알아두면 쓸모있는 서울시의 모든 생활정보를 매주 한 번 꼼꼼히 챙겨 소개합니다.
(서울=뉴스1) 한지명 기자 = 서울 거주 미취업 청년이라면 매달 50만원씩 최대 6개월간 활동비를 지원받을 수 있다. 서울시의 '청년수당'은 취업 준비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돕는 대표적인 청년 지원 제도다.
11일 서울시에 따르면 청년수당 신청 대상은 만 19세부터 34세까지의 서울 거주 청년 가운데 최종학력을 졸업(중퇴·수료 포함)한 후 미취업 상태이거나 주 30시간 이하 또는 3개월 이하 단기근로자다. 건강보험료 기준 중위소득 150% 이하 조건도 충족해야 한다.
청년수당은 매달 50만원씩 총 300만원 한도 내에서 전용 체크카드로 지급된다. 수당은 유흥업소, 귀금속, 해외직구 등 일부 업종에서는 사용할 수 없고, 주거비·공과금·교육비·생성형 AI 앱 구독료 등은 증빙자료 제출 시 예외적으로 현금 사용이 허용된다.
참여자는 활동 기간 동안 매달 '자기성장기록서'를 제출해야 하며 중도에 취업한 경우 잔여 수당의 절반은 취업성공금으로 받을 수 있다. 시는 수당의 목적 외 사용을 방지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사용 내역을 점검하고 있다.
올해부터는 단순한 금전 지원을 넘어 진로 설계와 실전 역량 향상을 위한 맞춤형 프로그램이 대폭 확대됐다.
참여자는 자치구 청년센터를 통해 '자기이해→진로탐색→직무 구체화→구직·취업'에 이르는 4단계 진로 설계 과정을 지원받는다. AI 기반 진단검사, 자기소개서 첨삭, 모의 면접 등 실전 중심의 역량 강화 프로그램도 포함됐다.
눈에 띄는 변화는 6개월간 이어지는 '장기 멘토링' 도입이다. 네이버웹툰, LG전자, 존슨앤드존슨 등 기업 현직자들이 멘토로 참여해, 한 명의 멘토가 5~7명의 멘티를 꾸준히 관리하며 진로 탐색과 실무 조언을 제공한다. 단기 특강에 그치지 않고 지속적인 관계를 맺는 방식으로 실질적 취업 역량 강화에 초점을 맞췄다.
서울시는 고립·은둔 청년, 저소득층, '서울런' 참여자 등을 우선 선발 대상으로 정했다. 고립·은둔 청년의 경우 서울시 전담 기관의 추천을 통해 사회 복귀 의지가 확인되면 우선 선발된다.
군 복무를 마친 청년은 복무 기간만큼 신청 연령이 연장된다. 예를 들어 2년 이상 복무자는 만 37세(1987년 6월 1일 이후 출생자)까지도 참여할 수 있다.
서울시는 올해 청년수당 대상자 2만 명 중 미충원 인원 7000명을 추가 모집 중이다. 신청은 오는 12일 오후 4시까지 서울시 청년포털 '청년몽땅정보통'에서 온라인으로 접수하면 된다.
다만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국민취업지원제도, 청년월세지원 등 유사 사업에 참여 중인 경우에는 중복 지원이 제한된다.
※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