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5월 고용동향 발표…13개월 만에 최대폭 증가
건설업 13개월·제조업 11개월째 감소…업종별 온도차
15~29세 고용률 12개월째↓…취업자 감소세는 완화
![[서울=뉴시스] 김근수 기자 = 14일 서울 마포구 서부고용복지플러스센터 일자리 정보 게시판 앞에서 구직자들이 이력서를 작성하고 있다.2025.05.14. ks@newsis.com](https://image.fnnews.com/resource/media/image/2025/06/11/202506111614297187_l.jpg)
[세종=뉴시스] 안호균 박광온 기자 = 5월 취업자 수가 20만명 넘게 늘면서 13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다.
정부가 주도하는 일자리사업의 영향으로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등에서 취업자 수가 큰 폭으로 늘었다. 하지만 건설업과 제조업 등 일부 업종은 내수 부진의 영향으로 취업자수 감소세가 지속됐고, 청년층 고용시장도 아직 냉랭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11일 발표한 '2025년 5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2916만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4만5000명(0.8%) 증가했다.
월간 취업자 수 증감폭은 지난해 12월 비상계엄 사태 여파로 마이너스(-5만2000명)를 기록했다가 올해 들어서는 1월(13만5000명)과 2월(13만6000명), 3월(19만3000명), 4월(19만4000명) 이어 5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5월 증가폭(24만5000명)은 지난해 4월(26만1000명) 이후 처음으로 20만명대를 회복해 13개월 만에 최고치를 나타냈다.
고용률은 63.8%로 전년 동월 대비 0.3%포인트(p) 상승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비교 기준인 15~64세 고용률은 70.5%로 전년 동월 대비 0.5%p 올랐다.
5월 실업자 수는 85만3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만2000명(3.6%) 하락했다.
실업률은 2.8%로 지난해보다 0.2%p 낮아졌다.
![[세종=뉴시스] 통계청 5월 고용동향. *재판매 및 DB 금지](https://image.fnnews.com/resource/media/image/2025/06/11/202506111614321411_l.jpg)
업종별·연령대별로 고용시장 온도차는 확연했다.
보건업및사회복지서비스업(23만3000명), 전문, 과학및 기술서비스업(11만7000명), 금융및보험업(7만2000명) 등은 취업자수 증가세를 나타냈다.
반면 농림어업(-13만5000명), 건설업(-10만6000명), 제조업(-6만7000명), 숙박및음식점업(-6만7000명) 등에서는 취업자수가 마이너스를 나타냈다.
건설업은 13개월, 제조업은 11개월, 농림어업은 4개월 연속 취업자 수가 감소했다. 숙박및음식점업의 경우 지난해 2월(-2000명) 이후 처음으로 취업자수가 줄었다.
월간 연령대별 취업자 수는 60세 이상(37만명)과 30대(13만2000명)에서는 증가했지만, 20대(-12만4000명), 50대(-6만8000명), 40대(-3만9000명)에서는 감소했다.
15~29세 청년층 고용률은 46.9%로 전년 동월보다 0.7%p 하락했다. 지난해 5월부터 1년째 감소세다.
다만 15~29세 취업자수 감소폭이 1월 23만4000명에서 2월 23만5000명, 3월 20만6000명, 4월 17만4000명, 5월 15만명으로 하향곡선을 그리는 등 청년층 고용난 완화를 나타내는 일부 신호도 있었다.
15~29세 실업률은 6.6%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0.1%p 하락했다. 청년층 지난해 9월 이후 실업률이 처음으로 떨어진 것이다.
![[서울=뉴시스] 김근수 기자 = 10일 새벽 서울 구로구 남구로역 인근 인력시장에서 건설 일용직 노동자들이 일자리를 구하기 위해 이동하고 있다. 2025.04.10. ks@newsis.com](https://image.fnnews.com/resource/media/image/2025/06/11/202506111614343742_l.jpg)
☞공감언론 뉴시스 ahk@newsis.com, lighton@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