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광주 시내버스 파업…노조 '강경 투쟁 vs 준법 운행' 이견

뉴스1

입력 2025.06.11 09:48

수정 2025.06.11 09:48

광주 시내버스 노조가 파업을 재개한 지 이틀째인 10일 광주 서구 광천종합버스터미널 정류장에서 시민들이 버스를 기다리고 있다. 2025.6.10/뉴스1 ⓒ News1 이승현 기자
광주 시내버스 노조가 파업을 재개한 지 이틀째인 10일 광주 서구 광천종합버스터미널 정류장에서 시민들이 버스를 기다리고 있다. 2025.6.10/뉴스1 ⓒ News1 이승현 기자


(광주=뉴스1) 박지현 기자 = 시내버스 파업이 이어지는 가운데 파업 방식을 둘러싼 노조 내부 갈등이 수면 위로 드러나고 있다.

11일 광주시에 따르면 이날 기준 시내버스 운행률은 70%대로 700대가량 운행 중이다. 전날 운행률은 88%였다.

운행률이 떨어진 것은 노조 내부가 다른 목소리를 내고 있어서다. 전국자동차노동조합 광주지역버스지부 소속 노조원 10여 명은 이날 오전 4시부터 2시간 30분가량 광주 북구 대창운수 차고지에 모여 시위를 벌였다.



시위는 대창운수가 준법 운행 체제로 전환할 예정이라는 발표 이후 벌어졌다. 대창운수는 현재 전체 버스의 80%만 운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노조 내부에서는 파업 방식과 대응 전략을 놓고 여러 의견이 오간 것으로 전해졌다.

일부 조합원들은 "조합 전체가 함께 가지 않으면 의미가 없다"며 강경 투쟁을 주장했다. 일부는 시민 불편 최소화와 생계 문제 등을 이유로 준법 투쟁을 선호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오전 10시에는 광주시청 앞에서 150여 명이 참여한 노조 집회도 열린다. 노조는 "사측이 협상에 전혀 응하지 않고 있다"며 대화를 위한 시의 중재를 촉구했다.


지난 10일 열린 광주시의회 산업건설위원회에서는 노사가 시 관계자와 함께 사태 해결 방안을 논의했다.

간담회에서는 노조 측 입장을 일부 수용하는 분위기 속에 시가 중재자로서 구체적 협상안을 제시해야 한다는 요구가 나왔다.


광주시 관계자는 "비상 수송대책을 강화 중이며 시민 불편을 줄이기 위해 노사 간 책임 있는 협상이 필요하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