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환경

‘더워지는 바다’…온난화로 동해 기초생산력, 감소세 뚜렷

변옥환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5.06.11 10:36

수정 2025.06.11 10:37

국립수과원, 최근 30년 위성·조사선 관측자료 분석
[파이낸셜뉴스] 나날이 높아지는 바다 수온의 영향으로 동해의 기초생산력(식물성플랑크톤의 광합성으로 유기화합물 에너지 생성)이 최근 급격히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연도 구간별로 측정한 한반도 동해상 중·대형 식물플랑크톤 분포 변화도. 국립수산과학원 제공
연도 구간별로 측정한 한반도 동해상 중·대형 식물플랑크톤 분포 변화도. 국립수산과학원 제공

국립수산과학원은 최근 22년간의 인공위성 정보와 최근 34년간의 조사선 관측 자료를 바탕으로 한반도 해역의 기초생산력 변화 추이 분석결과를 11일 발표했다.

먼저 인공위성 자료 분석결과, 동해 연안의 기초생산력은 연평균 0.3%씩 꾸준히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또 과학조사선 관측 자료 분석결과, 지난해 동해 기초생산력은 직전 6년치 평균 대비 13%나 감소했으며 중·대형 식물플랑크톤의 분포도 또한 매년 1.1%(연 1630㎢)씩 감소했다.

주원인은 해양 온난화 현상에 따른 영양염 공급이 저하됐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바다의 표층수온과 저층수온 간 온도차가 점차 커지며 성층(물 밀도차에 따른 해양 내부 층상구조 형성)이 두꺼워져 물의 순환이 약화한 탓에 영양염 공급이 저하됐다는 것이다.

조사선 관측 자료를 살펴보면 1990년부터 2023년까지 동해 연안의 성층 강도는 연평균 1.83%씩 늘어나는 추세를 보였다. 특히 지난 2015년 이후에는 과거 25년 평균과 비교해 약 13.8% 정도로 급격히 늘어나는 모습을 보였다. 이는 전 지구적 성층 증가율(약 4.9%)보다 2.5배 이상 높은 수준이다.

성층이 두꺼워진 주요 원인으로는 대기로부터 공급되는 열에너지의 증가, 즉 고온 현상이 꼽혔다. 또 저위도로부터 한반도 해역으로 열을 공급하는 동한난류 세력 증가 등이 복합 작용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러한 기상·화학적 변화는 한반도 동해 연안 생태계의 기초생산력 저하로 이어지고 있다. 바다의 식물플랑크톤 광합성 활동 저하는 곧 어업 생산량에도 타격이 갈 수 있어 우려되는 상황이다.


최용석 수과원장은 “여러 관측 자료·정보를 통해 우리 바다 생태계가 해양 온난화에 어떻게 반응하고 있는지를 정량적으로 구명할 수 있다”며 “이는 바다의 정밀한 기후변화를 감지하고 예측할 수 있는 만큼, 지속적인 자료 분석과 연구 활동을 통해 기후위기 대응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전했다.

식물플랑크톤의 광합성 활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진 성층 강도의 변화 그래프(동해 기준). 국립수산과학원 제공
식물플랑크톤의 광합성 활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진 성층 강도의 변화 그래프(동해 기준). 국립수산과학원 제공


lich0929@fnnews.com 변옥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