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뉴스1) 고동명 기자 = 제주 최대 폐기물 처리시설인 제주환경자원순환센터 봉쇄 사태가 주민과 제주도의 협상 타결로 마무리됐다.
제주도 관계자와 구좌읍 동복리 주민들은 11일 오전 도청 기자실에서 "안정적인 쓰레기 처리와 동복리 주도 마을 발전 사업을 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합의문에 따르면 양측은 주민들이 요구해 온 대로 '무산된 농경지 폐열 사업에 상응하는 동복리 발전사업'을 하기로 했다.
또 양측은 동복리와 도, 전문가집단이 참여하는 상생협의체를 구성해 운영하기로 했다.
동복리 주민들은 환경자원순환센터 유치 당시 도가 약속했던 농경지 폐열 지원사업을 이행하라며 지난 7일 시설 진입로를 폐쇄했다.
이곳 주민들은 도 측이 '해당 사업이 어렵다면 도유지와 리유지를 대상으로 상응하는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약속한 녹취록이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도는 '폐열 지원사업은 경제성이 없어 추진하지 못했고, 대체 사업은 공문서나 회의록에서 확인되지 않았다'고 맞섰다.
이런 가운데 해당 센터는 하루 최대 500톤의 폐기물을 처리하는 곳이어서 봉쇄 장기화에 따른 쓰레기 대란 우려가 제기됐다. 이달 7일부터 10일까지 센터로 반입되지 못하고 쌓인 폐기물은 300톤 이상으로 추정된다.
도에 따르면 센터로 보내지 못한 쓰레기는 민간업체를 통해 도외로 반출해야 하는데 하루 1억 1000만 원이 든다.
강애숙 도 기후환경국장은 "녹취록을 직접 듣진 않았지만, 충분히 신빙성이 있다고 판단했다"며 "구체적으로 어떤 사업을 할진 앞으로 상생협의체에서 논의할 예정이다. 이런 사태가 재발하지 않도록 마을과 행정의 소통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