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뉴스1) 황진중 기자 = 인공지능(AI) 신약 개발 기업 갤럭스와 한올바이오파마(009420)는 항암 항체 치료제 개발을 위한 전략적 공동 연구를 시작한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협업은 복잡한 조건을 만족해야 하는 항체 치료제를 정밀한 AI 설계를 통해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AI 기술에 기반을 두고 기존 방식으로는 확보하기 어려운 항체를 설계해, 약효는 극대화하며 부작용은 최소화한 치료제를 공동으로 개발할 계획이다.
갤럭스는 단백질 구조의 물리화학적 원리를 학습한 단백질 설계 AI 플랫폼 '갤럭스 디자인'을 활용한다.
이 플랫폼은 기존에 존재하지 않는 완전히 새로운 항체를 처음부터 설계할 수 있다는 강점이 있다.
갤럭스는 지난 3월 여섯 개 신약 타깃에 대해 신규 항체를 AI로 설계하는 데 성공했다고 전했다. 이를 통해 플랫폼의 정밀도, 범용성, 확장성 측면 성능을 입증한 바 있다고 덧붙였다.
한올바이오파마는 항체·단백질 기반 치료제 개발에 특화된 기업이다. 자가면역질환, 안과질환, 암 등 주요 치료 영역에서 축적된 임상 경험과 글로벌 파이프라인을 바탕으로 혁신 신약을 개발하고 있다.
최근에는 자가면역질환 치료제로 개발 중인 '바토클리맙'이 일본에서 갑상선안병증 희귀의약품으로 지정된 바 있다. 또 중증근무력증 임상 3상에서 긍정적인 결과가 확인됐다.
두 기업은 이번 공동 연구를 통해 차별화된 항체 치료제 도출과 검증을 단계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석차옥 갤럭스 대표는 "갤럭스의 독자적인 AI 단백질 설계 기술은 기존 업계가 직면하고 있던 신약 개발 과제에 새로운 해법을 제시할 수 있다"며 "이번 협업을 통해 이러한 기술적 강점이 잘 발휘돼 유의미한 연구 성과로 이어지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안혜경 한올바이오파마 연구본부장은 "한올은 AI 기술을 기반으로 한 신약 개발 혁신을 지속해서 추진해 왔으며, 이번 협업은 그 전략적 연장의 일환"이라면서 "갤럭스와의 기술적 시너지를 통해 연구개발의 깊이와 속도를 더욱 확장해 나갈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