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용인 ‘서리 고려백자 요지’는 발굴 현장 공개…11일~17일

뉴스1

입력 2025.06.11 11:04

수정 2025.06.11 11:04

13일 용인문화예술원에서 개최되는 '용인 서리 고려백자 요지 학술대회' 포스터.(용인시 제공)
13일 용인문화예술원에서 개최되는 '용인 서리 고려백자 요지 학술대회' 포스터.(용인시 제공)


(용인=뉴스1) 김평석 기자 = 경기 용인특례시가 11일부터 17일까지 국가 사적인 ‘용인 서리 고려백자 요지’의 발굴 현장을 공개한다.

‘용인 서리 고려백자 요지’는 고려시대 자기 가마터로, 1984년부터 1988년까지 세 차례에 걸친 발굴 조사에서 가치를 인정받아 1989년 대한민국 사적으로 지정됐다.

발굴 당시 길이 83m에 달하는 초대형 가마터와 함께 10세기 중엽부터 12세기 초까지의 고려청자·백자의 시기별 형태 변화가 잘 드러나는 퇴적층이 확인됐다.

2021년부터 2024년까지는 가마터 주변 보호구역을 대상으로 4·5차 발굴조사가 진행됐다. 이 과정에서 가마 운영을 위한 작업장으로 사용된 건물터, 국가에 납품하던 제기를 집중적으로 묻은 구덩이 등 중요한 유구가 발견됐다.



올해에는 1980년대에 조사했던 가마부와 양측 퇴적구를 중심으로 정밀 발굴 조사를 하고 있다. 시는 이번 조사 결과를 통해 150여 년 동안 여러 차례 조성된 가마의 중첩 양상과 퇴적구의 전체 퇴적층 구조를 상세히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3월 시작된 정밀 발굴조사는 8월까지 진행된다. 현재까지의 조사 성과를 11일부터 17일까지(매일 오전 10시~오후 3시) 시민들에게 공개한다.

시는 용인시 처인구 이동읍 서리 발굴 현장에 임시 홍보관을 마련했다.
관람객은 전문 고고학자의 해설과 함께 유적과 출토 유물을 살펴볼 수 있다.

또 발굴 조사의 성과를 공유하고 향후 유적 정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13일 오후 1시 용인문화예술원에서 ‘용인 서리 요장의 확장발굴을 통해 본 고려도자 연구사의 쟁점’ 학술대회를 개최한다.


시 관계자는 “현재 수립 중인 2차 사적관리 종합정비계획을 바탕으로 유적을 체계적으로 정비할 것”이라며 “도자역사 체험관 등 문화공간을 운영해 용인이 고려 도자 문화의 모태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