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일반경제

농진청 "장마철 습기로 증가하는 벼 질병 피해…사전방제 하세요"

뉴스1

입력 2025.06.11 11:20

수정 2025.06.11 11:20

21일 전남 해남군 현산면 경수리 한 논에 심어진 벼 포기가 '제5호' 태풍 '다나스'(DANAS)의 영향으로 물에 잠겨 있다. 200㎜ 가까운 폭우를 뿌린 '다나스'는 농경지 침수 등 많은 피해를 입혔다.2002019.7.21/뉴스1 ⓒ News1 이종행 기자
21일 전남 해남군 현산면 경수리 한 논에 심어진 벼 포기가 '제5호' 태풍 '다나스'(DANAS)의 영향으로 물에 잠겨 있다. 200㎜ 가까운 폭우를 뿌린 '다나스'는 농경지 침수 등 많은 피해를 입혔다.2002019.7.21/뉴스1 ⓒ News1 이종행 기자


(세종=뉴스1) 김승준 기자 = 농촌진흥청(청장 권재한)은 올해 여름은 평년보다 많은 비가 내릴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벼 병해 조기진단과 적기 방제가 필요하다고 11일 당부했다.

모내기 후 비가 자주 내리고 습한 날이 이어지면 도열병, 잎집무늬마름병, 흰잎마름병 등의 병해 발생이 늘어난다.

도열병은 지속되는 비와 흐린 날씨로 기온이 낮아지고 습한 날이 계속되면 잘 발생한다. 특히 질소비료를 많이 준 논이나 논 주변 잡초를 제거하지 않았을 때 많이 발생하므로 주의해야 한다.

잎집무늬마름병도 질소비료를 많이 주거나 벼를 빽빽하게 심어 바람이 잘 통하지 않은 상태에서 온도와 습도가 높아지면 잘 발생한다.

병을 예방하려면 적정량의 비료를 뿌려 벼 포기가 벌어지거나 늘어진 잎들이 없게 하고, 벼 포기 내부로 바람이 잘 통하도록 관리할 필요가 있다.

흰잎마름병은 생육 중기인 7월 초·중순부터 나타나며 장마와 태풍, 침수로 병이 퍼진다. 발생 초기에는 잎끝이 하얗게 마르고 심해지면 식물체가 말라 죽는다.
병이 심하게 발생하면 광합성이 원활하지 않아 쌀 품질과 수확량이 떨어진다. 병원균이 물이나 상처를 통해 침입해 전염되므로 물길을 정비해 재배지가 물에 잠기지 않도록 관리해야 한다.


박향미 농촌진흥청 작물환경과장은 "안정적인 벼농사를 위해 물길 정비, 잡초 제거 등 재배지 관리에 신경 쓰고, 현장 상황을 수시로 관찰해 신속히 병을 방제해야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