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요미우리 보도…"조달 기준 미달 국가선 수입량 제한"
![[AP/뉴시스]주요 7개국(G7)이 이달 중순 정상회의에서 희토류 등 핵심 광물의 중국 의존도를 줄이기 위한 합의문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11일 요미우리신문이 보도했다. 사진은 미국 캘리포니아주 모하비 사막에 있는 마운틴 패스 희토류 광산의 2024년 항공사진 모습. 사진과 기사는 직접적인 관련 없음. 2025.06.11.](https://image.fnnews.com/resource/media/image/2025/06/11/202506111130306459_l.jpg)
[서울=뉴시스] 김예진 기자 = 주요 7개국(G7)이 이달 중순 정상회의에서 희토류 등 핵심 광물의 중국 의존도를 줄이기 위한 합의문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11일 요미우리신문이 보도했다.
신문은 합의문 원안을 입수해 이같이 전했다. 원안에는 핵심 광물 조달처 분산을 위한 로드맵을 연내 책정하겠다는 내용이 명기됐다.
요미우리는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와 유럽의 결속이 흔들리는 가운데 공급망 안정화는 우선 사항으로 판단하고 보조를 맞추는 형태"라고 짚었다.
원안에는 "우리는 국가 안보와 경제 안보에 대한 공통 이익을 가지고 있다"는 내용이 실렸다.
원안에는 "중요 광물 조달 기준에 따라 (새로운) 시장을 형성하는 공정표(로드맵)을 책정할 것"이라고 명기됐다.
또한 원안에는 미국과 유럽, 일본의 공통 기준을 바탕으로 각국 정부가 기준을 충족시킨 광산업체, 투자 기업에 보조금을 우선적으로 지원하겠다는 방침도 포함됐다.
아울러 조달 기준에 대해서는 지난해 이탈리아에서 열린 G7 정상회의에서 '비가격 기준'을 고려하겠다는 원칙을 확인한 바 있다. 가격에만 주목하지 않고 조달처의 투명성, 신용성도 검토하겠다는 원칙이다.
유럽 외교 소식통에 따르면 공정표에는 이 원칙을 신속하게 구체화하기 위해 ▲국제기관·광물 채굴국·기업과의 협의 ▲구체적인 조달 기준 책정 ▲기업 등에 대한 가이드라인 책정 등 과제에 기한을 두는 점도 담겼다.
특히 가이드라인으로는 "조달 기준에 미치지 않는 특정 나라로부터 일정 이상 비율은 수입하지 않는다"는 등 목표를 상정하고 있다. 만일 중국이 비가격 기준 등을 충족하지 못한다면, 중국에서의 수입량이 제한될 수도 있다.
G7은 일단 이러한 로드맵을 마련한 후 회원국 외 국가들에게도 같은 대처를 해 달라고 요청할 방침이다.
G7은 이번 정상회의 성명 채택은 보류하고 개별 합의문을 발표하는 방향으로 조율하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의 고관세 정책,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략 대응 등에 대한 G7 내 의견 차이를 드러내지 않기 위해서다.
요미우리에 따르면 핵심 광물 외에도 인공지능(AI), 산불 대책 등 비교적 합의가 쉬운 7개 분야 문서가 준비돼 있다.
☞공감언론 뉴시스 aci27@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