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괴산=뉴스1) 이성기 기자 = 충북 괴산군의회는 지난 10일 열린 342회 1차 정례회에서 정부에 괴산군 홍수 예방 근본대책을 촉구하는 건의문을 채택했다.
홍수 예방을 위해 환경부 등에 하천의 퇴적토와 수목 제거 등 하천 정비를 요구했다.
환경부가 지난달 14일 발표한 2025년 여름철 홍수대책 중 괴산군과 관련한 내용은 괴산댐 수위를 5.3m 낮춘 124.5m로 운영하는 방안이다.
하지만, 이는 정부의 물관리기본계획과 거리가 있다. 국가물관리기본계획의 전략 중에는 저수량이 감소한 댐의 퇴적토 제거가 있다.
괴산댐은 1957년 준공한 후 유역관리지역의 퇴적토를 제거했다는 발표 자료가 없다. 인공섬 주변에도 퇴적토가 쌓이고 있다. 괴산댐으로 유입하는 지방하천 22개 중 정비되지 않은 소하천도 많다.
퇴적토가 홍수피해의 원인이 된다는 것은 행정안전부의 2023년도 재해연보에도 언급됐다. 2023년도 피해에 대해 '토석류 유출 하천 단면 잠식 및 설계기준에 미달하는 낮은 교량의 유수 소통 저해 등으로 범람 침수 및 주변 지역 2차 피해 발생'이라고 분석했다.
괴산군의회는 하천 정비 내용도 구체적으로 요구했다. 국가하천과 지방하천 합수 지역의 유역면적 확보, 괴산댐 퇴적토 제거, 하천 수량에 적합한 교량 건설, 유수 소통에 지장을 주는 수목 제거 등이다.
괴산군의회는 채택한 건의문을 환경부, 원주지방환경청, 충청북도 등에 이송할 예정이다.
※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