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록 지사 "에너지수도 전남으로 유치해야"
윤병태 시장 "나주는 전력 생태계 완비된 곳"
풍력·태양광 등 재생에너지·블루카본 등 선도

[무안=뉴시스] 송창헌 기자 = 전남도가 새정부에서 신설될 기후에너지부 전남 유치에 본격 시동을 걸고 나섰다.
나주시도 에너지 공기업과 교육기관 등이 집적화된 광주·전남 공동혁신도시가 최적지라며 유치 의사를 분명히 했다.
김영록 전남지사는 11일 이재명 정부의 기후에너지부 신설 공약과 관련해 "에너지 대전환의 결정적 전기가 될 것"이라며 "에너지수도인 광주·전남 공동혁신도시로 유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지사는 입장문을 통해 "기후위기가 미래세대 생존까지 심각하게 위협하는 중차대한 시기에 대통령께서 밝힌 기후에너지부 신설 공약은 대한민국 에너지 대전환의 결정적 전기가 될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기후·에너지 정책은 그동안 부처 간 칸막이 행정과 분절된 책임 구조 탓에 실효성이 크게 떨어졌다는 지적이 나온다.
기후에너지부는 이러한 구조를 통합, 기후위기와 산업·에너지 전환을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국가전략의 중심 축이 돼야 하고, 전남도가 이를 위한 핵심파트너 역할을 하겠다는 게 전남도의 전략이다.
전남은 실제 지구온난화와 해수면 상승, 태풍, 가뭄 등 기후 위기 최일선에서 기후변화 해결책을 찾기 위해 고군분투 중이다. 대한민국 기후리더십을 전 세계에 천명할 제33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3) 유치, 국가 탄소중립에 기여할 여수산단·묘도 탄소포집활용저장(CCUS)와 여수·광양만권 청정수소 클러스터 조성을 추진하고 있다.
농식품기후변화대응센터와 국립 아열대작물실증센터, 해양 탄소흡수원 확충을 위한 국가해양생태공원과 블루카본 바다숲 조성 등 농수산 분야 기후변화 대응 플랫폼도 구축하고 있다.
광주·전남 공동혁신도시 나주에는 세계 최대 규모의 에너지 공기업인 한전과 전력거래소, 한전KDN 등 에너지 공기업과 에너지 특화대학이 입지해 협업에도 유리하다.
윤병태 나주시장은 "나주는 전력산업 생태계가 두루 완비된 곳"이라며 "기후에너지부 신설은 에너지 전환의 심장, 나주에서 출발하는 게 타당하다"는 입장이다.
전남도는 아시아 태평양 최대 3.2GW 주민참여형 해상풍력 집적화 단지를 비롯해 영농형 태양광, 전국 최초 데이터센터 RE100 산단, 분권형 에너지고속도로 구축계획까지 수립하며, 에너지 미래를 현실로 만들고 있다. 또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에너지 기본소득, 주민참여형 재생에너지 발전사업, 주민 이익공유제 등 새로운 정책 대안들을 만들어 주도적으로 추진해왔다.
김 지사는 "전남의 재생에너지 잠재량은 1176GW로, 전국(7333GW)의 16%를 차지해 전국 1위를 자랑하며, 기후위기 최일선에서 해결책을 찾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다"며 "이 같은 역량과 의지를 갖춘 전남은 기후에너지부 성패를 좌우할 수 있는 실행 거점이자, 최적의 입지"라고 밝혔다.
이어 "기후위기 대응과 에너지 전환은 더이상 선택이 아닌 국가 생존전략의 문제로, 기후에너지부 신설 공약은 과감한 전환의 시작점"이라며 "최전선 현장에서 답을 찾아온 전남도가 중앙 정부와 긴밀히 협력해 기후에너지부 조직 설계에 지역 목소리를 담고, 전남형 에너지 전환모델을 국가정책으로 확산하는데 앞장서겠다"고 유치 의지를 강력히 피력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goodchang@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