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주=뉴스1) 김동규 기자 = 전북은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산업이 없어 발전이 더디다는 지적이 나왔다.
김대중 전북도의원(익산 1)은 11일 제419회 정례회에서 김관영 도지사를 상대로 도정 현안에 대한 질문에서 이같이 말했다.
김 의원은 먼저 대광법 개정과 새만금 국제공항 착공, 올림픽 유치 등에 대해 “마치 엄청난 성과를 거둔 것처럼 전면에 내세우지만 전북과 도민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지, 오히려 독이 될지는 미지수”라며 “특히 대광법은 열악한 재정 여건에서 과도한 지방비 부담에 대한 대책이 무엇이냐”고 물었다.
그는 “대광법으로 광역교통망을 건설하면 도로 50%, 철도 30%의 운영비 전액을 지방비로 부담해야 한다”며 “대광법 개정을 추진하는 대신 기존 도로법과 철도법을 개정해 ‘특별자치도 사업을 우선하여 추진한다’는 조항을 신설했다면 국비 100%로 지방비 부담 없이 광역교통망을 구축할 수도 있었다”고 주장했다.
이어 “전북도가 기업유치 실적을 자랑하지만 실상은 다른 지역에 비해 뒤떨어지고 있다”며 “기업유치 정책 방향을 재점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실제 전북도는 매년 산업통상자원부가 17개 시도를 대상으로 실시하는 기업유치 실적평가에서 민선 8기 이후 2년 연속 우수지자체로 선정되지 못했다”고 했다.
그러면서 “지사께서 기업유치와 경제 살리기에 힘을 쏟고 있지만 수십 년 전이나 지금이나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산업이 없다는 사실은 전북이 발전하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라며 “새 정부가 시작되는 지금의 시기를 기회로 삼아 신산업의 주도권을 전북이 가져올 수 있도록 한발 앞서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답변에 나선 김관영 지사는 “지난 2022년 전북도지사 선거 당시부터 광역교통 인프라에 대한 국가 지원에 소외되고 있다는 현실을 깊이 인식했다”면서 “대광법 개정을 민선 8기 도정 운영의 핵심 방향으로 설정하고 추진해 왔다. 도민이 실질적이고 체감할 수 있는 광역교통망 성과를 창출하고 중장기적인 지역 교통 발전의 토대를 차질 없이 마련해 나가겠다”고 약속했다.
김 지사는 “전북도는 민선7기에 비해 민선8기 투자유치 실적이 증가했으나 평가 대상인 지역투자촉진보조금 지급대상 기업 수가 감소하고 충북, 경북, 충남의 투자유치 규모가 전북보다 앞서고 있어 우수지자체 선정되는데 어려움이 있다”라며 “앞으로는 이차전지, 바이오, 신재생에너지 등 미래 신성장 분야의 기업 유치를 확대하겠다”고 답했다.
※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