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천=뉴스1) 이성기 기자 = 한국도로공사 충북본부는 교통량 증가에 따라 고속도로에서 전 좌석 안전띠를 반드시 착용하고 차량 ACC 기능 사용에도 주의해야 한다고 11일 당부했다.
한국도로공사 충북본부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20~2024년) 충북 고속도로 교통사고 사망자 중 안전띠 미착용자는 29명으로 전체 사망자의 20.7%를 차지했다.
안전띠를 매지 않으면 사고 때 차량 밖으로 튕겨 나가거나 차량 내부 또는 동승자와 부딪혀 머리·목·흉부 등 복합 중상을 입을 가능성이 안전띠를 착용했을 때보다 최대 9배, 치사율은 앞좌석은 2.8배 뒷좌석은 3.7배 높다.
차량의 ACC(Adaptive Cruise Control) 기능을 사용하는 운전자가 증가하면서 관련 사고도 늘고 있다.
최근 5년간(2020~2024년) 전국 고속도로에서 발생한 교통사고 중 ACC 작동상태에서 발생한 사고는 총 23건이다.
ACC란 운행 중인 차량이 전방 차량을 인식해 앞차와의 거리를 유지하고, 운전자가 설정한 속도로 주행하도록 도와주는 운전 편의장치다. 운전자의 주행 편의성을 높이지만, 단독 기능만으로 주행의 편의성과 안전성을 완벽히 보장하지 않는다.
운전자는 ACC에만 의존하지 말고 기능이 정상 작동 중이라도 교통상황을 상시 확인하고 전방주시를 철저히 해야 한다. 특히 고속도로 공사 구간이나 돌발상황 발생 때는 ACC모드를 끄고 수동으로 운전해야 한다.
도로공사 충북본부는 고속도로 휴게소, 졸음쉼터 등 국민 접점 시설에 ACC 기능의 위험성을 알리는 교통안전 포스터, 배너 등을 게시해 운전자에게 홍보하고 있다.
한국도로공사 충북본부 관계자는 "주행속도가 빠른 고속도로에서는 반드시 전 좌석 안전띠를 착용하고, ACC 기능 사용 중에도 철저한 전방주시 등 안전운전에 유의해 달라"고 당부했다.
※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