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종목▶
소형 무인기 플랫폼까지 강화
글로벌 시장 경쟁력 확보 추진
글로벌 시장 경쟁력 확보 추진

[파이낸셜뉴스] 한국항공우주산업(KAI)는 지난 10일 소형 무인기 핵심 첨단 기술을 보유한 기업 '디브레인'과 투자계약을 체결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투자로 KAI는 디브레인 지분 37.04%를 확보하며 2대 주주에 올랐다.
디브레인은 2013년 설립된 소형 무인 전문기업이다. 군단급 무인기와 농업용 무인헬기 개발 경험을 바탕으로 비행 제어와 OFP를 포함한 경량화 항공전자 장비 분야에서 강점을 보이고 있다. 차별화된 비행제어 기술력을 인정받아 2023년 '방산 혁신기업 100' 드론 분야에 선정된 바 있다.
KAI는 이번 투자 협력으로 소형 무인기 핵심 요소기술과 플랫폼을 확보하고 관련 사업을 확대하여 국내 무인기 시장을 선도한다는 계획이다.
KAI가 디브레인과 함께 개발할 무인기는 기존 중·대형급 무인기와 차별화된 소형 무인기다. 개발을 완료하면 군의 작전 범위 및 전술 다양성 확대뿐만 아니라, 민간 무인기 산업 발전에도 크게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소형 무인기는 현대 전장에서 '게임 체인저'로 주목받고 있다. 글로벌 산업 분석 기관 포춘 비즈니스 인사이트에 따르면 글로벌 시장 규모는 2024년 160억7000만달러에서 2032년 471억6000만달러로 급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우리 군도 지난해 5월 소형 무인기 전략을 2026년까지 현재의 2배 이상으로 확대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강구영 KAI 사장은 "KAI의 체계종합 역량과 디브레인의 소형 무인기 핵심 기술력을 결합해 개발 사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것"이라며 "기존 중·대형 무인기 개발과 함께 소형 무인기 플랫폼까지 강화해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KAI는 국내 무인기 체계종합업체 선두 주자로서 앞으로도 다양한 무인기 전문기업들에 대한 투자와 협력을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최근 위성통신 탑재 항공전자 전문기업 '제노코', 인공지능(AI) 기술 기업 '펀진' 및 '젠젠에이아이'에 투자해, 무인기의 자율성 향상 및 유·무인 복합체계 고도화 등 미래 전장에 대비한 기술개발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hoya0222@fnnews.com 김동호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