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아시아/호주

'최대 30만' 난카이 대지진 사망자 80% 줄인다…日 방재대책 추진

뉴스1

입력 2025.06.11 16:24

수정 2025.06.11 16:24

12일 기상청과 일본기상청(JMA) 등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8일 오후 4시 43분께 규슈 남동부 미야자키현 앞바다에서 발생한 규모 7.1 지진 이후 '난카이 해구 지진 임시 정보'를 발령했다. ⓒ News1 윤주희 디자이너
12일 기상청과 일본기상청(JMA) 등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8일 오후 4시 43분께 규슈 남동부 미야자키현 앞바다에서 발생한 규모 7.1 지진 이후 '난카이 해구 지진 임시 정보'를 발령했다. ⓒ News1 윤주희 디자이너


(서울=뉴스1) 김지완 기자 = 일본 정부가 직접적 사망자만 최대 30만 명에 이를 것으로 우려되는 '난카이 대지진' 발생 시 사망자를 80% 줄이기 위한 대책 마련에 착수했다.

11일 요미우리신문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난카이 대지진의 사망자를 80%, 건물 파괴와 소실을 50% 줄이는 것을 목표로 '방재대책추진 기본계획'을 개정하기로 했다. 이 계획 개정안은 다음달 초 열리는 정부 중앙방재회의에서 결정될 예정이다.

개정안은 134개 항목의 중점 대책에 대해 목표 수치를 설정했으며, 10년 내 달성이 목표다. 기본계획 개정은 2014년 이후 처음이다.



개정안 중 직접적 사망자를 줄이는 '생명을 지키기' 대책에는 필요한 높이를 확보한 해안 제방의 정비율을 2023년의 42%에서 2030년까지 50%로 높이는 것이 포함된다.

또한 2011년 동일본 대지진 때 방조제 대문의 폐쇄 작업 중 소방대원이 희생된 점을 고려해 방조제 개구부를 자동·원격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바꾸기로 했다.

사회복지시설의 붕괴 위험이 있는 블록 벽의 내진화율은 2022년 20%에서 2030년 53%로 높이기로 했다.

생활과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전기, 수도 등의 시설 보수와 관련된 '생명을 잇기' 대책에는 상하수도 시설 중 내진화 작업이 완료된 시설의 비율을 2023년 12%에서 2030년까지 32%로 올리기로 했다.

간이침대 등 자재 확보를 통해 피난소가 충족해야 할 생활 환경을 규정한 국제 지표인 '스피어 기준'을 충족하는 지자체 비율은 2030년까지 100%로 올리기로 했다.


난카이 대지진은 시즈오카현 해안에서 규슈의 미야자키현 해안까지 이어지는 난카이 해곡 지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규모 8~9의 초대형 지진을 의미한다. 발생 간격은 100~150년이며, 일본 지진조사위원회에 따르면 향후 30년 내로 난카이 대지진이 발생할 가능성은 80% 정도다.


일본 정부는 지난 3월 난카이 대지진으로 인한 직접 사망자가 29만 8000명, 이후 재난 관련 사망자 수가 5만 2000명, 완파되는 건축물 수는 235만 동에 달할 것으로 추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