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복원 옛전남도청 새이름은?…'5.18·국립·최후항쟁' 담아야

뉴시스

입력 2025.06.11 16:54

수정 2025.06.11 16:54

옛 전남도청 복원 건물 명칭과 운영방안 논의 5·18과 국립 핵심단어 선정…문체부 운영 적정 열흘간 항쟁 역사 살려야 vs 보편적 의미 담아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조성 발맞춰 조직 구성"
[광주=뉴시스] 김혜인 기자 = 11일 오후 광주 동구 전일빌딩 다목적강당에서 옛전남도청복원협의회가 주최한 '옛 전남도청 명칭 및 운영방안 토론회'가 열리고 있다. 2025.06.11. hyein0342@newsis.com
[광주=뉴시스] 김혜인 기자 = 11일 오후 광주 동구 전일빌딩 다목적강당에서 옛전남도청복원협의회가 주최한 '옛 전남도청 명칭 및 운영방안 토론회'가 열리고 있다. 2025.06.11. hyein0342@newsis.com

[광주=뉴시스]김혜인 기자 = "최후항쟁" "민중항쟁" "민주·인권" "역사관"

5·18 최후항쟁지이자 복원이 진행되는 옛 전남도청의 명칭과 운영 방안을 논의하는 장이 열렸다.

11일 오후 광주 동구 전일빌딩245 다목적강당에서는 옛전남도청복원협의회가 주최한 '옛 전남도청 명칭 및 운영방안 토론회'가 진행됐다.

토론회에 앞서 정영수 프라임전략연구원 대표가 옛 전남도청 복원 건물 운영 방안 용역 결과를 발표했다.

건물 명칭으로는 옛 전남도청의 정체성을 상징하는 '5·18'과 국가기관을 주체로 하는 '국립'을 핵심 단어로 선정했다.

부수적으로 민주, 역사, 정의, 항쟁, 치유 등의 키워드를 추가해 6가지 명칭을 제시했다.

명칭은 ▲국립 5·18민주(역사)기념관 ▲국립 5·18(민주)항쟁역사관 ▲국립5·18(민주)항쟁전시관 ▲국립5·18(민주)평화전당 ▲국립 5·18(민주)항쟁기록관 ▲국립5·18항쟁기념관 등이다.

건물 운영 주체에 대해서는 문화체육관광부(문체부)·행정안전부·국가보훈부 가운데 효율·책무·공공·전문성을 고려, 문체부가 적정하다는 결과가 도출됐다.

[광주=뉴시스] 김혜인 기자 = 11일 오후 광주 동구 전일빌딩 다목적강당에서 옛전남도청복원협의회가 주최한 '옛 전남도청 명칭 및 운영방안 토론회'가 열리고 있다. 2025.06.11. hyein0342@newsis.com
[광주=뉴시스] 김혜인 기자 = 11일 오후 광주 동구 전일빌딩 다목적강당에서 옛전남도청복원협의회가 주최한 '옛 전남도청 명칭 및 운영방안 토론회'가 열리고 있다. 2025.06.11. hyein0342@newsis.com

토론은 이기훈 광주시민사회지원센터장이 좌장을 맡아 진행했다.

1부 복원 건물 명칭 토론에서는 건물에 '최후항쟁', '민중항쟁', '민주·인권'의 키워드를 담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특히 5·18민주화운동의 열흘 간 항쟁을 살려 '최후항쟁'이 들어가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황성효 복원대책위원회 실장은 "차별성 없는 기록·역사관 대신 민주주의의 근간이 된 오월 정신과 최후 항쟁지의 역사성을 담은 '국립5·18최후항쟁관'을 제시한다"고 설명했다.

강신겸 전남대 문화전대학원 교수는 "5·18의 인류 보편적 가치를 담아 민주·인권 단어를 포함해야 한다"고 말했다.

옛 전남도청 명칭을 유지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된 반면 중립적 의미를 사용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김희송 전남대 5·18연구소 교수는 "옛전남도청과 상무관에 1980년의 아픔과 역사가 담겨있기 때문에 '옛전남도청' 명칭을 유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진성 부산교육대 사회교육과 교수는 "5·18을 포함해 광주와 전남, 한국근현대사 등 중립적인 의미를 담은 '국립 전남도청 역사박물관'을 제시한다"고 밝혔다.

[광주=뉴시스] 김혜인 기자 = 11일 오후 광주 동구 전일빌딩 다목적강당에서 옛전남도청복원협의회가 주최한 '옛 전남도청 명칭 및 운영방안 토론회'가 열리고 있다. 2025.06.11. hyein0342@newsis.com
[광주=뉴시스] 김혜인 기자 = 11일 오후 광주 동구 전일빌딩 다목적강당에서 옛전남도청복원협의회가 주최한 '옛 전남도청 명칭 및 운영방안 토론회'가 열리고 있다. 2025.06.11. hyein0342@newsis.com

2부 운영방안에 대한 토론에서는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조성과 연결성을 고려해 조직을 꾸려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황 복원대책위 상황실장은 "아시아문화전당과 도청이 함께 위치해 문화와 역사가 부딪칠 수 있다"며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조성에 관한 특별법에 5·18과 역사가 빠져있는데 이를 개정해 전당과 복원 조직이 함께 나아가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강 교수는 "전시관 뿐만 아니라 다른 민주화 역사관과도 연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오월단체를 중심으로 한 특수법인이 설립돼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김공휴 5·18부상자회 총무국장은 "오월단체를 중심으로 한 문체부 소속 특수법인으로 지정해야 한다"고 밝혔다.

옛 전남도청은 1980년 5월27일 시민군이 진압 작전에 나선 계엄군에 맞선 최후 항전지다. 도청이 2005년 전남 무안으로 이전한 뒤 인근에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이 들어서면서 원형이 훼손돼 복원이 진행됐다.


복원 사업은 13만9506㎡일대 6개 동을 대상으로 추진하고 있다. 공정률은 60%대를 기록하고 있다.
전시관은 시설 공사를 마치고 내년 1월 개관 예정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hyein0342@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