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창원=뉴스1) 강정태 기자 = 경남도민프로축구단(경남FC)이 지난해 역대 최하위 성적을 기록하고도 이례적으로 사무국 전 직원에게 성과급을 지급해 논란이 일고 있다.
2년 전 경남도가 고강도 혁신안을 발표하면서 목표로 내세운 ‘민선 8기 박완수 지사 임기 내 재정자립도 50% 달성’에 크게 못 미쳐 연간 100억원 안팎의 도민 세금에 의존하는 상황에서 혁신 의지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11일 뉴스1 취재를 종합하면 경남FC는 지난 3월 이사회 의결을 거쳐 사무국 전 직원에게 지난해 업무 성과에 따라 각각 100만~150만원의 성과급을 지급했다.
경남FC가 사무국 전 직원에게 성과급을 지급한 것은 지난 2019년 이후 6년 만이다. 당시에는 2017년 2부리그 우승, 2018년 1부리그 준우승 및 아시아챔피언스리그(ACL) 본선 사상 첫 진출이라는 성과에다가 2019년 말컹, 박지수 등 경남FC가 발굴한 선수를 이적시키면서 약 90억원의 이적료 수익이 발생해 직원 격려 차원에서 성과급이 지급됐다.
그러나 이번에는 2019년 K리그1에서 강등된 이후 지난해 K리그2 13개 팀 중 12위에 그치는 역대 최악의 성적을 거뒀음에도 불구하고 성과급을 지급했다.
최근 경남FC의 매출 상황이 나아진 것도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경남FC의 최근 3년간 매출은 해마다 감소하고 있다. 2022년 28억 7293만원에서 2023년 20억 9943만원, 지난해 16억 7513만원으로, 매년 수억 원씩 줄고 있다. 이는 이적료 수입이 줄면서 매출도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
성과급 지급 논란에 경남FC 관계자는 “지난해 성적은 좋지 않았지만, 관중 동원이 5위를 했다”며 “이익 잉여금도 조금 생기다 보니 이사회에서 직원들 고생한 것에 대한 보상이 좀 있어야 하지 않겠냐, 해서 성과급을 지급하게 된 것”이라고 해명했다.
또 “직원들은 다른 구단에 비해 연봉 등 보수도 열악한 조건이라 사기 진작과 직원 격려 차원에서 성과급을 지급하게 된 면도 있다”고 덧붙였다.
경남FC가 구단 자금을 부실하게 집행하고 있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경남FC에 따르면 지난해 구단 전 대표이사가 관용차를 이용하다 사고가 났는데 급발진을 주장하며 구단 자금으로 법적 대응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를 두고 경남 체육계 한 관계자는 “이런 경우 급발진으로 인정받은 후에 구단에 청구해서 받아도 될 일인데 처음부터 구단 자금을 사용한 것은 문제가 있어 보인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경남FC 관계자는 “당시 경찰에서 운전자 과실이 없다고 결론 났으나 관용차 렌터카 업체에서 구단 법인에 민사소송을 걸어 구단 자금으로 대응하게 된 것”이라며 “이후 법원에서 운전자 과실이 있다고 한다면 구상권 청구 등을 검토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경남도는 지난 2023년 경남FC에 대해 민선 8기 임기 내 자생력이 확보되지 않으면 도민 의견을 듣고 구단 해체까지 검토한다는 고강도 혁신안을 발표한 바 있다.
당시 도는 경남FC에서 도비 보조금이 차지하는 비율을 2024년 65%, 2025년 60%, 2026년 50%로 점차 낮춰 가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그러나 최근 도비 보조금 비율을 보면 2018년 69%, 2021년 84%, 2022년·2023년 각 79%, 2024년과 올해 각 72%로 여전히 자체 수익은 낮고 대부분 100억원 안팎의 도비에 의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남FC는 올 시즌에서도 현재 5승 2무 8패로 14개 팀 중 9위에 머무르는 등 부진한 성적을 보이고 있다.
※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