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금융일반

토허제 해제·DSR 선수요 겹친 탓.. 가계 빚 6조 급증 '8개월래 최대'

서혜진 기자,

김동찬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5.06.11 18:23

수정 2025.06.11 18:23

토허제 해제·DSR 선수요 겹친 탓.. 가계 빚 6조 급증 '8개월래 최대'
지난달 전 금융권의 가계대출이 6조원이나 늘었다. 연초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여파로 주택 거래량이 급증하면서 은행권 가계대출이 8개월 만에 최대 폭으로 증가한 결과다.

오는 7월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 강화를 앞두고 선수요까지 겹치며 가계대출 증가 압력이 7~8월까지 유지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금융당국은 금융권의 가계대출 증가세를 밀착 관리하는 한편 시장 과열시 준비한 조치를 즉각 시행키로 했다.

11일 금융당국이 발표한 '5월 중 전 금융권 가계대출 동향'에 따르면 전 금융권 가계대출은 6조원 증가해 전월(5조3000억원)보다 증가 폭이 커졌다.

지난해 10월(6조5000억원) 이후 7개월 만에 가장 큰 폭이다.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에 따른 주택거래 증가가 본격적으로 반영된 결과다.

문제는 오는 7월 스트레스 DSR 3단계 시행 전 '막차' 수요가 더해질 수 있다는 점이다. 박민철 한은 금융시장국 시장총괄팀 차장은 "막차 수요는 지난해 9월에 2단계 시행 전에도 7~8월에 발생됐다. 올해는 5~6월에 선수요가 일부 발생할 수 있다"며 "5월 주택거래량이 현 추세로 미뤄 3월보다는 적고, 4월보다는 많을 가능성이 있는 만큼 2∼3개월 시차를 고려할때 당분간 가계대출은 상당한 증가 압력을 받을 것으로 우려된다"고 전했다.

금융당국은 강도 높은 정책적 노력을 추진해 가계부채 관리에 나서기로 했다.
특히 수도권을 중심으로 금융회사의 주담대 취급실태에 대한 관리·감독을 대폭 강화하고, 금융권의 가계대출 증가세를 밀착 관리할 방침이다.

권대영 금융위 사무처장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가계부채 점검회의에서 "가계부채는 아직 관리 가능한 범위 내에 있지만 최근 금리인하 기조, 주택시장 호조 등 가계부채의 증가세 확대 요인이 상존하고 있어 엄중한 경각심과 일관된 리스크 관리가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점"이라고 짚었다.


이어 "일관된 가계부채 관리 기조 하에서 최근의 가계부채 증가 추이, 부동산 시장 상황 등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시장 과열 발생시 준비된 조치를 즉각 시행할 계획"이라며 "가계부채가 경제의 위험요인으로 작용하지 않도록 가계부채 관리를 위한 전 금융권의 적극적인 관심과 협조를 당부한다"고 덧붙였다.

eastcold@fnnews.com 김동찬 서혜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