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과학 과학

"국내 기술 우주망원경 10년 내 발사"

연지안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5.06.11 12:00

수정 2025.06.11 18:56

박장현 신임 천문연구원장 청사진
세계 첫 ‘광학망원경’ 개발 기대
내년까지 우주청과 로드맵 협의
박장현 천문연구원장이 지난 10일 서울 종로구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천문연구원 제공
박장현 천문연구원장이 지난 10일 서울 종로구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천문연구원 제공
박장현 신임 천문연구원장이 "우리나라의 독자적인 기술로 우주망원경을 만들고자 한다"며 "향후 10년 내 국내 독자 기술로 만든 우주망원경을 발사해 산업화하는 게 목표"라고 밝혔다.

박 원장은 지난 10일 서울 종로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임기 내 주력하려는 부분은 우리나라 우주망원경을 새로운 브랜드로 만드는 것"이라고 신임 원장으로서 천문연의 청사진을 전했다. 국내 천문학자들의 기술을 기반으로 국내 기술 비중이 70%인 우주망원경을 만들어 독자적으로 발사한다는 계획이다.

박 원장은 "5년 내 국내 기술의 망원경 본체 제작을 위한 기반을 만들어 향후 10년 내 발사까지 국내 독자적인 기술로 하고 싶다"며 "늦어도 내년 초까지 우주항공청과 협의해 우주망원경 개발 로드맵을 만들고자 한다"고 말했다. 우주망원경 개발을 위한 국가 로드맵이 구축되면 초기 예산은 500억원에서 최대 800억원 규모로 예상한다는 설명이다.



자체 망원경 기술은 현재 전 세계적으로 미국 유럽 등이 보유하고 있다.
다만 각 기술 탐사 망원경의 경우 각국별로 다양한 상태다. 박 원장은 "현재 확보한 국내 기술 기반으로 볼 때, 우리나라는 광학을 기반으로 한 망원경이 개발될 가능성이 높다"며 "이럴 경우 전 세계적으로는 첫 광학망원경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어 "우주 분야는 현재 국제적으로도 중요한 분야로 우리나라는 우주위협 핵심국가들로 분석되고 있는 중국과 북한, 러시아 등과 인접해 있어 우리의 우주 분야 연구는 '생존의 문제'"라며 "특히 이 같은 우주분야 개발을 위해 국가적인 연구개발(R&D)이 중요한데 이를 위해서는 지속성이 중요하고 이를 위해 산업화가 필수"라고 강조했다.

jiany@fnnews.com 연지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