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엄 당일 김철진 전 보좌관 법정 증언
노상원 '장성 인사 개입' 소문도 언급
노상원 '장성 인사 개입' 소문도 언급

[파이낸셜뉴스] 12·3 비상계엄 사태 당시 국회의 계엄 해제 결의안이 통과된 후, 윤석열 전 대통령이 군 핵심 참모들에게 "(국회에) 군인 1000명을 보냈어야 한다"고 말했다는 법정 증언이 나왔다.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5부(재판장 지귀연)는 16일 윤 전 대통령의 내란 우두머리 등 혐의 관련 7차 공판기일을 열고, 김철진 전 국방부 군사보좌관에 대한 증인 신문을 진행했다. 김 전 보좌관은 비상계엄 당시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을 가까이에서 보좌했던 인물이다.
김 전 보좌관은 지난해 12월 4일 새벽 1시 20분쯤 국회에서 비상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이 통과된 이후, 윤 전 대통령이 국방부 전투통제실 내 결심지원실을 찾았다고 진술했다. 윤 전 대통령은 이곳에서 약 30분간 머물며 김 전 장관, 박안수 육군참모총장 등 주요 참모들과 회의를 했다고 한다.
검찰이 "윤 전 대통령이 김 전 장관에게 '국회에 몇 명이나 투입했느냐'고 묻고, 김 전 장관이 '500여명'이라고 답하자, '거봐, 부족하다니까. 1000명은 보냈어야지. 이제 어떡할 거야'라고 말했느냐"고 묻자, 김 전 보좌관은 "들은 사실이 있다"고 답했다.
또 김 전 보좌관은 김 전 장관이 노상원 전 국군정보사령관과 통화하는 장면도 여러 차례 목격했다고 증언했다. 그는 "차를 타고 이동할 때 김 전 장관이 '응, 상원아'라는 전화를 받는 걸 2~3번 정도 기억한다"고 말했다. 김 전 장관은 친근한 사람의 경우 직책이 아닌 이름을 부르는 습관이 있다고 한다.
이어 "장군 진급 발표 이후 노 전 사령관이 인사에 개입했다는 소문이 있었고, 평판도 좋지 않았다"면서 "비상계엄 당일 결심지원실에서 '응, 상원아'라는 통화를 듣고 나중에 노 전 사령관이 사건에 개입됐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지난해 12월 3일 아침에도 장관 공관을 방문했다는 얘기를 듣고 '노상원이 맞는구나'라고 생각했다"고 검찰에서 진술했다고 부연했다.
노 전 사령관의 인사 개입 의혹과 관련해선 "장군 인사 이후 노 장군이 주도했다는 불쾌한 이야기가 들려왔다"며 "전역하실 때 좋지 않은 일로 전역했다고 들었고, 전역 후에도 자꾸 인맥을 이용해 군에 개입한다는 소문이 있었다"고 했다.
한편, 윤 전 대통령은 이날 오전·오후 재판에 출석하며 '조은석 내란 특검 임명에 대해 어떻게 보는지', '특검이 소환 조사할 경우 응할 것인지', '계엄포고령 문건 작성을 김용현 전 장관에게 지시했는지', '국회에 군인 1000명을 보냈어야 한다고 했는지' 등 취재진 질문에 입을 굳게 다문 채 법정으로 들어갔다.
scottchoi15@fnnews.com 최은솔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