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이낸셜뉴스] 금리하락 리스크 등의 영향으로 금융복합기업집단의 자본적정성 비율이 1년 새 20%포인트(p) 가까이 떨어졌다.
금융감독원은 25일 교보, DB, 다우키움, 삼성, 미래에셋, 한화, 현대차 등 7개 금융복합기업집단의 작년 말 자본적정성 비율이 174.3%로 전년 말(193.7%) 대비 19.4%p 하락했다고 밝혔다.
2021년 시행된 금융복합기업집단감독법에 따라 금융복합기업집단은 자본적정성 비율 100% 이상을 유지해야 한다.
자본적정성 비율은 실제 손실 흡수 능력인 통합자기자본을 금융복합기업집단 수준의 추가 위험을 고려한 최소 자본 기준인 통합필요자본으로 나눈 값이다.
통합자기자본이 금리하락에 따른 보험부채 증가 등으로 전년 대비 2.7% 하락했다.
금감원은 "7개 금융복합기업집단의 자본적정성 비율은 금리 영향 등으로 하락했다"며 "규제비율(100%)을 웃돌기 때문에 손실흡수능력은 양호한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집단별 자본적정성 비율을 살펴보면 교보(201.4%), DB(195.0%), 다우키움(193.8%), 삼성(185.1%), 미래에셋(164.2%), 한화(154.9%), 현대차(146.9%) 순으로 나타났다.
전년 말과 비교하면 교보(-37.5%p), 삼성(-25.4%p), DB(-23.7%p), 한화(-17.4%p), 다우키움(-14.9%p), 현대차(-7.7%p)가 하락하고, 미래에셋(+8.7%p)만 상승했다.
금감원은 "자본적정성 비율을 지속 모니터링하고 금융복합기업집단 내 전이·집중위험이 발생하지 않도록 내부거래, 공동투자 등 관련 잠재 위험요인에 대한 관리 강화를 유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sjmary@fnnews.com 서혜진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