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대한상의, 2025년 직업기초능력평가…연 2회 시행 추진

뉴스1

입력 2025.07.06 12:01

수정 2025.07.06 12:01

대한상공회의소 전경 (대한상의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2025.4.17/뉴스1
대한상공회의소 전경 (대한상의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2025.4.17/뉴스1


(서울=뉴스1) 최동현 기자 = 대한상공회의소는 8일부터 11일까지 전국 571개 직업계고 3학년 6만2000여명을 대상으로 '2025년 직업기초능력평가'를 시행한다고 6일 밝혔다. 올해부터는 평가 결과를 종이가 아닌 '디지털 배지'로 발급해 취업 활용도를 개선했다.

직업기초능력평가는 교육부와 대한상의가 공동 운영하는 제도로 직업계고 실무 기반 핵심역량을 객관적으로 진단해 학생들의 진로설계와 기업의 고졸인재 채용을 돕기 위해 2015년 도입됐다.

올해 접수인원은 6만2390명으로 작년 대비 6.3%(3600여명) 증가했다. 직업기초능력평가에 대한 학교 현장의 관심과 수요가 지속해서 확대되고 있다.



평가 항목은 △의사소통(국어) △의사소통(영어) △수리 활용 △문제해결 △직무 적응 5개 영역이며,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의 직업기초능력을 모두 포함한다.

또 실제 근무 환경에서 요구되는 정보 탐색력, 분석력, 상황판단력 등을 평가하는 문항으로 구성해 기업들이 학생들의 실무 기반 문제해결 능력을 검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올해부터는 평가 결과가 종이 출력물 형태에서 디지털 배지 발급으로 변경되는 점도 특징이다. 학생이 취업 현장에서 더욱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취업 지원' 기능을 확대하는 취지다.

대한상의는 올해 8월 말부터 디지털 배지를 고용노동부 고용서비스 포탈인 '고용24' 연계할 계획이다. 학생은 평가 결과를 영역별 수준 확인 차원을 넘어 자기 주도적으로 직업공통역량을 체계적으로 관리‧증명할 수 있다.

현재 한국관광공사, 한국주택금융공사, 한국항공우주산업, DB하이텍, 크라운제과 등 주요 공기업 및 대기업들이 실제 고졸 인재 채용 시 직업기초능력평가를 활용하고 있다.


대한상의는 직업기초능력평가를 현재의 연 1회에서 연 2회로 확대 시행하는 방안을 최근 정부에 건의했다. 연 2회로 확대 시행될 경우, 학생들의 편의와 기업들의 활용도가 더욱 제고될 것으로 보인다.


안성호 대한상의 인재교육지원팀장은 "직업기초능력평가를 채용에 활용하는 기업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며 "기업이 더욱 신뢰할 수 있는 평가 체계를 구축하여 고졸 채용 문화 확산을 위해 적극 노력하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