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N, 우크라 당국 인용해 "2만5000~3만명 파견 예상"
국정원, 쇼이구 방북 등 근거로 7~8월 추가파병 관측
전문가 "북러 전략 거래의 끝, 北 전후 승리 지분 확보 포석"
"美 우크라 지원 나토와 거리.. 러는 전쟁 판도 바꿀 기회로"
"北 대규모 파병은 러에게 받아낼 것 많다는 셈법 의미..."
"전략무기 강화·핵보유국·정찰위성 공식 등극 지원 등 다목적"
"韓, 동맹·유사입장국 연대 북러 간 전략거래 상쇄 조치 필요"
국정원, 쇼이구 방북 등 근거로 7~8월 추가파병 관측
전문가 "북러 전략 거래의 끝, 北 전후 승리 지분 확보 포석"
"美 우크라 지원 나토와 거리.. 러는 전쟁 판도 바꿀 기회로"
"北 대규모 파병은 러에게 받아낼 것 많다는 셈법 의미..."
"전략무기 강화·핵보유국·정찰위성 공식 등극 지원 등 다목적"
"韓, 동맹·유사입장국 연대 북러 간 전략거래 상쇄 조치 필요"

[파이낸셜뉴스] 북한이 러시아에 최대 3만명에 달하는 병력을 추가 파병할 준비를 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지난해 가을 북한이 러시아 쿠르스크 지역에 1차로 파병한 병력 규모(약 1만1000명)를 크게 웃도는 수치다.
6일 군가 외교가에 따르면 지난 2일(현지시간) 미국 CNN은 우크라이나 정보당국을 인용해 북한이 몇 달 내로 2만5000명~3만명에 이르는 추가 병력을 러시아로 보내려 한다고 보도했다.
CNN은 이번 추가 병력 파견이 김정은 북한 노동당 총비서가 러시아에 대한 지지를 크게 늘리려 한다는 신호라고 해석했다. CNN은 북한이 최전선에서 싸우는 러시아군을 지원하는 자국 병력의 수를 기존의 세 배로 늘리려 한다고 전했다.
이어 지난 5월 18일 과거 북한군 수송에 이용됐던 러시아의 로푸차급 상륙함이 러시아 극동 두나이 항구에 다시 정박한 모습이 위성사진에 포착됐다고 전했다. 이 상륙함은 한 번에 최대 400명을 실어나를 수 있다.
제니 타운 미국 스팀슨센터 연구원은 "북한과 러시아 사이에 목숨 빚이 많을수록 북한은 장기적으로 더 많은 혜택을 받을 것"이라며 "단기적으로 (북한은) 희생을 감수한다"고 말했다. 김정은은 지난 5월 북한 특수부대를 사찰하는 모습이 포착되기도 했었다.
우크라이나 정보당국은 러시아 군용기가 병력 수송을 위해 개조되고 있다는 징후가 있음을 파악했다고 밝혔다. 지난 6월 4일에는 평양 순안공항 활주로에서 IL-76으로 추정되는 대형 화물기들이 포착됐다. 이 기종은 지난해 병력 수송에도 사용된 바 있어 추가적인 병력 이동 준비 정황으로 분석된다.
오픈소스센터의 수석 분석가인 조 번은 CNN에 "과거 북한의 군대를 (러시아로) 이동시키는 데 쓰였던 경로가 활성화돼 있으며, 향후 대규모 인력 이동에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풀이했다.
지난달 17일 세르게이 쇼이구 러시아 국가안보회의 서기가 북한을 방문했을 때, 북한은 쿠르스크 지역 복구 작업을 위해 공병 1000명과 군사 건설 인력 5000명 등 모두 6000명을 보내기로 합의한 바 있다. 쇼이구의 방북 등을 근거로 국가정보원은 러시아의 추가 파병이 이르면 7~8월쯤 이뤄질 것으로 예상하기도 했다.
국방 외교·안보 전문가는 6000명 규모의 재건 인력 파병인 3차 파병과는 별개로 북한이 최대 3만명 규모로 추가 파병에 나설 수 있다는 보도는 북러 전략거래의 끝판왕에 해당되는 규모라며, 우선 우러 전쟁 이후 전쟁 승리 지분을 확실하게 확보하겠다는 포석과 관련이 있다.고 짚었다.
반길주 국립외교원 교수는 트럼프 행정부 출범 후 우크라이나 지원과 나토 동맹에 거리를 두는 상황이 러시아에게는 전쟁의 판도를 바꿀 전략적 기회로 작용하는 상황이다. 북한은 이러한 기회를 이용해 전쟁 승리에 확실하게 기여함으로써 승전국으로서 지분을 확보하겠다는 것으로 볼 수 있다고 지적했다.
반 교수는 또 북한의 대규모 파병 셈법은 러시아에게 받아낼 것이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진단했다.
그는 대륙간탄도탄(ICBM) 탄두 재진입기술과 전략핵잠용 원자로, 정찰위성 기술뿐 아니라 핵보유국 공식 등극에 적극적인 지원도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며 따라서 동맹, 유사입장국 연대를 통해서 북러 간 전략거래 행태를 상쇄할 수 있는 조치가 필요할 것이라고 제언했다.
wangjylee@fnnews.com 이종윤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