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이낸셜뉴스] 한국패션협회는 16일 서울 중구 영원무역 명동빌딩 지하 5층 대강당에서 회원사를 대상으로 한 포럼을 열고 K패션 산업의 핵심 키워드로 떠오른 '로컬'의 중요성과 기회를 조망하는 시간을 가졌다고 밝혔다.
'시대예보: 로컬, 글로벌이 되다'를 주제로 열린 이번 포럼은 패션기업 및 관련 업계 임직원을 대상으로 진행됐으며, 단독 연사로 송길영 작가가 나섰다.
송 작가는 빅데이터 기반 콘텐츠 전략가로, '시대예보: 호모사피엔스', '상상하지 말라', '여기에 당신의 욕망이 보인다' 등 시대의 변화를 읽는 다수의 저서를 집필해왔다. 이번 강연에서는 빅데이터와 소비자 인식을 통해 '로컬'이 글로벌에서 어떻게 통용되고 있는지를 분석했다.
한국에서도 '로컬의 힘'이 강화되며 감도 높은 디자이너 브랜드와 K라이프스타일 브랜드가 해외 시장에서 성장 가능성을 넓히고 있다.
송 작가는 "처음으로 전 세계 사람들이 한국에서 나온 것을 좋아하기 시작했다"며 "작년에만 한국 드라마가 100편 넘게 제작됐고, 외국 자본이 투자한 작품도 많다. 이미 물이 들어왔는데, 우리가 그걸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그 나라에도 글로벌 브랜드가 있기 때문에, 지금 여기서만 살 수 있는 것을 보여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유통의 문제가 아니다. 팬덤이 없어서 팔리지 않는 것이고, 갖고 싶게 만들어야 한다"고 했다.
송 작가는 '로컬의 고유성'도 강조했다. 그는 "한국의 로컬 브랜드는 이제 전 세계 유일해야 한다"며 "벤치마크를 하는 순간 모두 망한다. 처음부터 남이 할 수 없는 것을 해야 경쟁 없이 살아남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성래은 한국패션협회장은 인사말을 통해 "지금 세계는 로컬에서 출발한 고유한 문화와 일상에 더 큰 가치를 부여하고 있다"며 "특히 한국의 감성 생활 방식 브랜드가 가진 이야기들이 이제는 글로벌 시장에서 새로운 라이프스타일로 주목받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 포럼이 회원사들이 변화의 흐름을 읽고 새로운 기회를 모색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날 포럼에는 박철규 한섬 사장, 김지원 한세MK 등 주요 패션 대기업 대표를 비롯해 이상봉 디자이너, 앤더스 벨, 잉크 등에서도 참석했다.
clean@fnnews.com 이정화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