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남권 내 낙후지역인 강남대로변이 상업지역으로 조정될 전망이다. 일반주거지역으로 묶인 이 지역이 상업지역으로 확대지정되면 허용 용적률이 현행 250%에서 최대 630%까지 늘어나고 층수 제한도 없어져 대규모 개발이 가능하다.
서울 서초구는 19일 영동 부도심이면서 일반주거지역으로 묶여있어 개발이 저조한 강남대로변 리버사이드호텔∼양재역 21만2600㎡(6만4311평)를 일반상업지역으로 상향 지정해줄 것을 지난 19일 서울시에 건의했다. 한남대교 건너편 리버사이드 호텔∼교보타워 4만여평과 뱅뱅사거리∼양재역 2만4000여평 등이다.
서초구는 “이 일대는 대부분 70년대에 건물이 건립돼 도시발전을 저해할 뿐 아니라 음식점 등이 들어서 이미 상업화돼 있다”면서 “더구나 시의 ‘2020 도시기본계획’안에 테헤란 및 강남대로를 국제업무지점으로 조성하겠다는 계획이 포함돼 있는 만큼 상업지역으로 용도지역을 상향 조정해 달라”고 건의했다.
이 곳은 지난 98년 서초구가 시에 지구단위계획에 의한 상업지역으로 지정 요청한 바 있으나 시 도시계획위원회 심의에서 강남구와 동시 추진토록 보류된 곳이다.
시는 강남대로를 사이에 두고 서측은 서초구, 동측은 강남구인만큼 서초구 요청에 따라 서초구 해당 지역만 상업지역으로 확대지정 했을 경우 시 전체 균형 및 형평성에 어긋난다는 판단에 따라 강남구와 연계해 추진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강남구는 서초구 내 상업지역이 2.7%에 불과한 반면 강남구 내엔 6% 이상을 차지한다며 상업지역 추가 지정에 반대하고 있다.
서초구 도시정비과 고태규 과장은 “서초구 내 상업지역 가운데에서도 절반 이상이 터미널 등 시설상업지역인만큼 강남권 내에서 서초구가 가장 낙후돼 있다”며 “강남구와 연계해 상업지역 지정을 추진하라는 시 입장은 이해가 되지만 강남구가 난색을 표하고 있는만큼 시가 적극적인 지구단위계획을 수립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시 이종상 도시계획국장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검토해야 할 것”이라며 다소 부정적 입장을 견지했으나 최재범 부시장은 “타당성이 있으므로 적극적으로 검토하라”고 지시, 상업지역 확대지정 추진이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 bomb@fnnews.com 박수현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