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년 물놀이 사망사고 36명은 세월호사고 영향으로 물놀이 인구가 크게 감소해 지난해 24명 보다는 증가한 수치다.
그러나 정부차원에서 본격적으로 물놀이 안전관리를 시작한 2009년 이후 연평균 사망자 44명 보다는 18.2%(8명)가 감소된 수준이다.
특히 해수욕장의 경우 최근 3년 평균 대비 피서객은 29% 증가한 반면, 사망자는 27%가 감소했다. 물놀이로 인한 사망자는 최근 3년 평균 4.3명 보다 적은 4명으로 나타났다.
한편 금년 여름은 때 이른 폭염과 일조시간은 길고, 강수량은 적어 피서객 증가가 예상된 가운데 해수욕장 관리책임이 지자체로 이관됨에 따라 인명피해도 늘어날 것으로 우려됐다.
이에 따라 안전처는 해수부, 경찰청, 지자체, 소방본부, 해양경비안전본부 등과 함께 물놀이 안전사고 피해 최소화를 위해 유기적인 협조체계를 구축해 대응한 바 있다.
아울러 정부는'해수욕장의 이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시행에 따른 시행착오를 최소화 하고자 관계부처 합동으로 안전정책조정 실무회의를 개최해 유관기관 합동 구조훈련 강화, 해경의 해상구조 집중 등 대응방안을 마련해 추진한 것이 효과가 있었던 것으로 보여진다고 설명했다.
국민안전처는 금년 여름철 물놀이 안전관리 결과를 토대로 내년에는 인명피해 예방을 위해 유관기관 협조체계 구축, 해수욕장 안전지원관 지정·운영, 자문 등 지속적인 지원을 통해 해수욕장 안전관리체계를 정착시키고소방안전교부세를 해수욕장 안전관리에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협조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음주수영 금지, 충분한 준비운동하기 등 물놀이 안전수칙을 지키는 문화를 지속적으로 조성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ktitk@fnnews.com 김태경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