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과학 건강

대장건강을 위한 방귀 횟수와 냄새 정도는?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5.09.30 10:05

수정 2015.09.30 10:05

대장건강을 위한 방귀 횟수와 냄새 정도는?

사람들은 방귀의 냄새나 횟수가 건강과 관련이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대한대장항문학회는 10대부터 60대까지 국민 2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방귀 횟수와 건강과의 관계를 묻는 질문에 응답자의 51.8%가 관계가 있다고 답했다고 9월30일 밝혔다. 방귀 냄새와 건강이 관련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82.1%로 더 높게 나타났다.

응답자의 45.2%는 본인의 방귀 횟수가 하루 평균 1회~5회 미만이라고 답했으며, 5회~10회 미만이라는 비율이 29.8%로 뒤를 이었다. 12.1%는 방귀 횟수를 인식하지 못한다고 응답했다.
건강한 성인의 하루 평균 방귀 횟수는 10~20회로 , 총 500~1500ml 가량의 가스를 배출 한다는 연구보고서와 비교 시 일반인이 자각하는 수준은 평균적으로 배출하는 방귀보다 크게 낮았다. 특히 50대의 경우 9.8%가 방귀 횟수를 인식하지 못한다고 답한 반면, 10대에서 해당 응답은 18.5%까지 높아졌다.

대한대장항문학회 박규주 이사장은 "본인이나 가족이 방귀가 잦거나 냄새가 지독하다며 대장 질환을 의심하는 사례가 많지만, 심각한 질환과 관련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라며 "방귀의 냄새는 섭취하는 음식과 밀접한 관계가 있고, 특히 황을 포함한 성분이 지독한 냄새를 유발한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평소와는 다른 방귀 증상과 함께 체중 감소, 설사, 복통, 복부팽만, 식욕감소 같은 장 증상이 동반되면 흡수 장애에 대한 검사가 필요하다.

잦은 방귀로 불편하다면 원인이 되는 젖당, 과당, 솔비톨, 녹말질 등의 섭취를 줄이는 것이 좋고, 양배추, 양파, 브로콜리, 감자, 밀가루음식, 탄산음료 등을 피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


대한대장항문학회는 조사 전문 기관 마크로밀 엠브레인과 2015년 7월 31일부터 8월 4일까지 약 5일간 서울 및 6대 광역시에 거주하고 있는 16~69세 남녀 2000명 대상으로 한국인의 배변 습관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pompom@fnnews.com 정명진 의학전문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