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요건 충족·임원 결격사유 없어…조합 "변경 승인 받아 사업 추진할 것"
(청주=뉴스1) 남궁형진 기자 = 충북 청주시가 새로 선출된 오송역세권조합 임원진과 정관 변경 등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결론지으면서 오송역세권 개발이 다시 추진될지에 관심이 쏠린다.
시는 오송역세권지구 도시개발사업조합이 제출한 총회 안건 자료를 승인했다고 19일 밝혔다.
이 자료는 지난달 25일 열린 임시총회 결과가 담긴 것이다. 조합은 당시 박종일 조합장을 비롯한 감사와 이사 등 18명의 임원진을 선출하고 일부 정관을 변경했다.
시는 조합으로부터 자료를 받아 총회 개의요건 충족 등 정관 준수 여부와 임원진 신원조회, 변경 정관의 관련법 위배 여부 등을 살펴봤다.
심사 결과 서면과 현장 출석 등을 통해 총회 개의요건인 전체 조합원 3분의 1 이상을 충족한 것으로 확인됐다.
새로 선출된 임원진과 변경된 정관에도 문제가 발견되지 않았다.
조합은 시가 임원선출 과정 등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결론낸 만큼 조만간 시에 정식으로 조합변경 승인을 신청할 계획이다.
조합은 2017년 전 집행부의 사퇴 이후 지난해 4월 새 집행부를 구성했지만 조합 정관을 어긴 것이 드러나 조합 변경 승인을 받지 못했다.
이후 지난해 11월 임시총회를 통해 박 조합장이 당선됐지만 총회 개의 정족수를 충족하지 못한 것으로 확인돼 조합 변경 승인을 받지 못해 사업 추진에 어려움을 겪었다.
박 조합장은 “시가 집행부 구성과 정관 변경에 문제가 없다고 통보했다”며 “조만간 조합변경 승인을 받을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어 “대외적으로 새 집행부가 구성돼 대표권을 갖고 일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된 것”이라며 “사업이 정상 추진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오송역세권 개발 사업은 2005년부터 8년 넘게 충북도의 주도하에 공영개발 방식으로 추진돼 왔다.
하지만 도는 당시 부동산 침체로 인한 민간기업의 PF 투자 지양 분위기 등 경제 여건이 이어지자 2013년에 개발사업 백지화를 선언한 뒤 해당 사업에서 완전히 손을 뗐다.
이후 2014년 오송역세권 개발을 원하는 지역주민들을 중심으로 한 ‘오송역세권지구 도시개발사업 조합’이 민간주도 환지 방식의 사업 재추진에 나섰다.
이후에도 추진위 내분과 사업시행사의 포기, 집행부 사퇴 등이 이어지면서 사업 추진에 진척이 없는 상태다.
※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