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종목▶

여행과 일상 사이 뚜렷했던 경계가 흐려지고 있다. 익스피디아의 조사에 따르면 대한민국 직장인 10명 중 6명은 연간 3회 이상 여행을 떠난다. 또한 해외여행이 보편화된 영향으로 첫 해외여행을 경험하는 시기가 점점 일러지는 것으로 드러났다. 베이비붐 세대가 평균 36세에 처음 해외여행을 경험한 데 비해 이들의 자녀세대인 Z세대는 평균 17세에 첫 해외여행을 다녀왔다고 답했다. 밀레니얼 세대는 평균 24세였다.
익스피디아가 한국인의 세대별 여행 패턴을 분석했다. Z세대부터 밀레니얼 세대, 베이비붐 세대까지 총 6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조사결과 일찍부터 여행을 경험해 온Z세대는 준비하는 과정도 남달랐다. 4명 중3명(75.0%)은 가고 싶은 여행지가 생기면 그 곳에 가는 것 자체가 중요했다.일정과 상품은 여행지를 결정한 이후에 알아본다고 했다.밀레니얼과 베이비붐 세대는 여행 시기나 일정 등 여행이 가능한 여건을 먼저 마련하고 여행지와 상품을 나중에 정하는 이들이 상대적으로 많았다.
Z세대는 여행경비를 마련하는 데에도 적극적이다. 저축(48.4%)을 하거나 지인과 공동 경비(16.6%)를 모으고 있었다.열심히 마련한 자금을 과감하게 투자하는 면모도 보였다. 10명 중6명은 스냅사진 촬영,쿠킹 클래스 수강,뮤지컬 관람 등 특별한 체험을 하는 데 전체 경비의20%이상(61.4%)사용할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한편 밀레니얼과 베이비붐 세대는 여행을 위해 별도의 비용을 미리 마련해 두는 것보다 즉흥적으로 비용을 지출하게 된다는 답변이 가장 많았다.
익스피디아의 지안루카 아르만도 아태지역 총괄은 “Z세대는 전 세계 여행시장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세대로 성장하고 있다.이들은 자신의 선호에 따라 상품을 구매하는 진취적인 성향으로,여행업계는 이들의 취향과 소비 패턴을 유심히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여행을 떠나는 가장 큰 이유(중복응답 허용)를 물었다.모든 세대가 공통적으로 기억에 남는 특별한 경험을 위해 여행한다(전체 평균55.7%)고 답했다. 그러나 누구와 무엇을 하고 싶은지에 대해서는 각기 다른 의견을 보였다.

Z세대는 연인 또는 친구와 함께하는 시간(44.2%)이 중요했다. 이와 대조적으로 베이비붐 세대에게 여행의 가장 큰 의미는 ‘가족과 함께하는 시간(55.0%)’에 있었다.이들은 기억에 남는 특별한 경험보다도 가족과의 시간을 가장 중요한 가치로 손꼽았다.한편 밀레니얼 세대는 누군가와 함께하는 시간보다 ‘휴식을 취하고 싶다(47.6%)’고 답한 이들이 더 많았다.
여행을 기록하는 방법(중복 응답 허용)에 대해 물었다. 전체 응답자의 43.2%가 일기,그림 등 개인 소장을 목적으로 하는 기록을 남긴다고 답해 눈길을 끌었다. 아날로그 기록을 선호하는 이들은 밀레니얼 세대에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Z세대, 베이비붐 세대 순이었다.
여행을 기록할 때 Z세대와 밀레니얼 세대가 가장 많이 사용하는 온라인 채널은 인스타그램(각각53.4%, 43.9%)이었다. 타인과 경험을 공유하는 것을 중시하는Z세대는 다른 세대에 비해 페이스북,유튜브를 선호하는 이들이 많았고,밀레니얼은 블로그를 선호했다. 베이비붐 세대는 카카오스토리와 밴드 사용률이 다른 세대에 비해 눈에 띄게 높았다.
전체 응답자 중 제주여행 경험이 있는 이들을 대상으로 제주에서 가장 좋았던 장소를 질문했다. 베이비붐 세대는 한라산,성산일출봉 등 전통적인 유명 관광지를 선호했다.반면 밀레니얼 세대는 유명 관광지를 포함해 월정리,협재,서귀포,애월 등 다양한 지역을 꼽았다.특히 해변가에서의 추억을 떠올리는 이들이 많았다.우도는 전 세대에 걸쳐 높은 인기를 보였다.
국내여행에 가장 적극적인 건 Z세대였다. 55.2%가 상반기에 국내여행을 떠난다. 밀레니얼은46.2%,베이비붐 세대는50%가 해당된다. 해외여행 계획이 가장 많은 세대는 밀레니얼이다.
yccho@fnnews.com 조용철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