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이낸셜뉴스] "지난 50년간 이루지 못한 소재·부품·장비의 국산화와 기술고도화를 위해 세제, 금융지원, 규제완화와 같은 정책들이 생겨나고 있으며 유래없는 연구개발 예산도 투입되고 있다. 출연연구기관이 전략아이템에 해당하는 제품을 테스트할 수 있는 시설들을 대중소기업들과 협업을 하면서 같이 문제를 풀어나갈 수 있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이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일본의 전략물자 수출제한 조치에 대응하기 위해 중소·중견기업이 집중해야 하는 위기대응 전략아이템을 지난 22일 선정·발표했다.
선정된 전략아이템은 고순도불화수소, 수산화니켈, 평판디스플레이용 블랭크 마스크, 반도체 제조용 포토레지스트, 실리콘 웨이퍼, 반도체 제조용 에폭시 수지, 수소연료 저장용 탄소섬유, 석영도가니, 웨이퍼 가공용 CMP 장비, 포토레지스트 도포기·현상기다.

KISTI는 대일 수입 비중이 30% 이상이고 수입액이 1000만 달러 이상인 품목 767개에 대한 수출입정보, 대일 수입비중, 무역수지 등 광범위한 데이터를 첨단 계량정보 분석기술로 분석하고, 내·외부 전문가 20여명이 정성적인 스크리닝을 수행해 최종 10개 전략아이템을 선정했다.
이와함께 최종 위기 대응 전략품목 후보군 10개도 발표했다. 후보군에는 바니시, 이차전지 제조용 분리막, 반도체 제조용 기기의 진공펌프, 저항가열식의 노와 오븐, 반도체 웨이퍼, 반도체 웨이퍼의 세정장비, 패턴형성기, 수치 제어반, 전하결합소자, 반도체 웨이퍼용 검사기 등이다.
KISTI가 선정한 위기대응 전략 품목을 살펴보면 대부분이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분야에 몰려있다.
보통 300미리 웨이퍼 한장이 반도체로 만들어지기까지 두달간의 공정에 들어간다. 무려 600~700가지 공정을 거치게 된다. 이 공정을 거쳐 손톱만한 메모리로 탄생하게 되는 것이다. 그 공정안에 수백가지 화학물질이 들어가고 다양한 공정장비가 들어간다. 한가지 화학물질에 문제가 생기거나 장비에 문제가 생길시 공장 전체가 멈추게 되다. 결과적으로 산업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반도체 산업쪽에서 많은 아이템이 추출된 것이다. 우리나라는 세계 1위 반도체 국가이지만 반도체 소재와 장비는 외국산에 80%에 의존하고 있다.
김 본부장은 또 그동안의 소재부품 국산화가 이뤄지지 못한 배경도 설명했다.
국내 반도체 국산화율을 살펴보면 2017년 기준 소재 50.3%, 장비 10.1%로 이 수치는 10년전과 거의 변화가 없다. 김은선 본부장은 "국산화율 수치를 봤을때 그때는 맞고 지금은 틀리다라는 말이 딱 들어맞는다"고 말했다. 이 영역의 시장규모가 크지 않아 대기업이 선뜻 들어가기에도 애매하고 이미 일본이 독점적 지위를 차지하고 있는 상황에서 중소·중견기업이 뛰어들어 리스크를 감당하기에도 애매하기 때문이다. 김 본부장은 "화이트리스트 배제 이후 우리들이 다시 생각하게 된 부분은 일본의 수출 규제 이슈가 해결되더라도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소재·부품·장비의 국산화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을 전국민이 알게 됐다"고 설명했다.
monarch@fnnews.com 김만기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